전통문화달력_6월


집에서 즐기는 박물관 나들이
가상현실로 체험하는 전시관 2
(메인 사진 캡션)
국립부여박물관 <치미, 하늘의 소리를 듣다>의 온라인 전시관 모습
수개월 동안 잠정 휴관에 들어갔던 국공립 박물관들이 가상현실(VR) 기술을 통한 온라인 전시관으로 일상에 보다 가깝게 다가왔다. 언제, 어디서든 편히 관람할 수 있는 가상현실 박물관을 살펴보자.
국립중앙박물관
황금인간의 땅, 카자흐스탄
1974년 경주 계림로 14호분에서 출토된 황금 보검은 광활한 초원길 너머의 중앙아시아에서 신라로 전해진 동서 문물의 대표적인 예로 꼽힌다. ‘경주 계림로 보검’이라 불리는 이 유물에서 카자흐스탄 보로보예에서 발견된 보검의 장식과 유사한 형태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황금빛으로 물들었던 대초원의 문명을 찾아 떠나는 여정의 목적지는 카자흐스탄이다. 구석기문화에서 황금인간까지, 고대 한반도와 연결됐던 황금의 나라 카자흐스탄으로 안내한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www.museum.go.kr/museum/2018/kazakhstan
국립중앙박물관
칸의 제국 몽골
고조선과 고구려는 국경을 사이에 두고 유목 국가인 흉노, 돌궐 등과 마주하며 경쟁을 펼쳤다. 고려는 몽골의 침략으로 큰 시련을 겪었지만 이로 인해 국제 교역의 물꼬를 틀 수 있었다. 이후 조선 시대에는 몽골어 학습서를 발간하고 역관을 양성하는 등 몽골과의 소통은 이어졌다. 이번 온라인 전시는 몽골 국가지정문화재 16건을 포함해 선사시대부터 근현대까지 536점에 달하는 몽골의 귀중한 유산과 함께 유목 문화를 체험하는 장이 될 것이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www.museum.go.kr/museum/2018/mongolian
국립경주박물관
황금의 나라 신라
기원전 57년에서 기원후 935년까지 한반도 동남쪽에 있었던 천년왕국 신라로 여행을 떠나볼까. 특히 5개의 상설전시실 중에서도 제2실 신라역사관에서는 천년왕국 신라의 찬란했던 황금 문화를 만날 수 있다. ‘황금의 나라, 신라’를 조명하는 공간에는 신라의 건국과 번영 과정을 네 부분으로 나누어 전시했다. 신라의 마립간(왕)이 사용했던 금관을 비롯해 금과 은, 동으로 만들어진 다양한 장신구들을 만나보자.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embed.360vrmuseum.com/showcase/9tDHv3bWHBt
국립경주박물관
신라 천년 보고
신라의 천년고도 경주는 ‘지붕 없는 박물관’이라는 다른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건물을 지으려고 터를 파거나 논밭을 갈다가 발견된 유물들이 수도 없이 많기 때문이다. ‘신라 천년 보고’ 전시관은 경주와 경상도 지역에서 발굴된 문화재를 안전하고 효율적으로 보관하기 위해 지어진 전용 보관시설이다. 전시 수장고와 일반 전시실, 소장품 등록실 그리고 열람실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장고, 문화재 소독실, 촬영실, 아카이브 자료 보관실 등을 갖췄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embed.360vrmuseum.com/showcase/qhS4UkDnpnn
대구박물관
이영희 기증 복식, 새바람
“내 꿈은 한복이라는 브랜드를 디자인하는 것이다”. 일생동안 우리 옷 한복의 세계화에 앞장서온 패션 디자이너 고(故) 이영희 선생의 유작을 온라인에서 만나보자. 대구 출신인 이영희 선생의 40년 한복 인생이 담긴 이번 온라인 전시회에서는 ‘색의 마술사’라 불렸던 선생의 한복과 소품 등을 접할 수 있다. 프랑스 파리 오트쿠튀르와 프레타포르테에서 이영희 선생이 선보인 대표작도 볼 수 있는 뜻깊은 기회가 될 것이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embed.360vrmuseum.com/showcase/CKBEnmk9CVG
국립부여박물관
치미, 하늘의 소리를 듣다
‘치미’는 전통건축의 지붕 용마루 양 끝을 장식하는 기와를 말한다. 치미에 대한 이해와 연구의 첫 발을 딛게 된 이번 전시를 통해 치미의 원형 고증과 복원으로 그 기능과 흐름을 추적해 우리 건축문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기회로 삼아보자. 국내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알려진 부여 왕흥사 터 출토 치미를 비롯해 백제, 신라, 통일신라 그리고 후삼국까지 한국 고대의 치미를 한자리에서 만나는 기회가 될 것이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embed.360vrmuseum.com/showcase/kcWsN7tZAXm
국립공주박물관
한성에서 웅진으로, 공주 수촌리
공주 수촌리 유적을 중심으로 고구려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겼던 백제의 웅진 천도 배경에 대한 이해를 돕고 중앙과 지역 세력 간의 관계를 조명하는 전시다. 충청남도 공주는 고구려, 신라와 함께 한반도 고대국가의 한 축을 담당했던 백제의 도읍지였다. 온라인 전시관에서는 공주 수촌리 유적의 주요 유물인 금동관모, 금동신발, 금귀걸이 등을 통해 백제 중앙 세력과 수촌리 세력의 관계를 짐작해 볼 수 있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embed.360vrmuseum.com/showcase/AyXpvFkHzPo
국립김해박물관
특별전 김해
지난 2018년 개최됐던 김해박물관 개관 20주년 기념 특별전의 전시 공간이 가상현실(VR)로 다시 찾아왔다. 국립김해박물관의 터전인 김해의 역사와 김해 사람의 역사적 여정을 정리하기 위해 준비된 이 전시회는 김해 역사의 큰 틀 속에서 쇠(金), 강과 바다(海), 역사(史)라는 세 가지 주제로 구성했다. 온라인으로 볼 수 있는 1천여 점의 전시품 중에는 국가지정문화재 4점(국보 1점, 보물 3점), 시·도 지정문화재 5건 13점 등 지정문화재 17점이 포함됐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gimhae.museum.go.kr/kr/online.php?linkNo=2
국립춘천박물관
창령사 터 오백나한
2001년 발굴된 영월 창령사 터 오백나한은 2018년, 2019년 특별전을 통해 많은 이들의 사랑을 받았던 전시회다. 오백나한이 가진 다양한 표정과 미소가 나 자신, 혹은 주변의 사랑하는 사람들을 떠올리게 했기 때문. <창령사 터 오백나한> 온라인 전시관에서 기쁨, 슬픔, 희망, 분노 등 우리 일상의 마음을 담고 있는 오백나한을 만나볼까. 가상의 전시관이 나에게로 떠나는 여정을 시작하는 공간이자 언제든 찾을 수 있는 휴식과 치유의 공간이 될 것이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chuncheon.museum.go.kr/html/kr/display/display_vr.html
국립광주박물관
중국 자주요 도자 명품전 – 흑백의 향연
1323년 여름, 중국에서 일본으로 항해하던 중 침몰한 무역선 신안선에는 2만여 점이 넘는 중국 도자기가 상품으로 실려 있었다. 이중에는 자주요 도자도 포함되어 있었다. 이는 원나라 시대의 자주요 도자가 중국 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 수출되는 무역품으로도 선호도가 높았다는 사실을 잘 보여주고 있다. 이번 온라인 전시에서는 우리나라 국보와 같은 중국 1급 유물 13점을 포함해 중국 자주요 박물관의 대표 소장품 117점을 선보인다.
▶온라인 전시관 바로가기
https://embed.360vrmuseum.com/showcase/8vo1vboP9vz