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 월요일 | 화요일 | 수요일 | 목요일 | 금요일 | 토요일 |
---|---|---|---|---|---|---|
|
|
1
|
2
7/2~7/7
[전시]다섯 개의 창, 하나의 궁 『경복궁 생각』
|
3
|
4
|
5
|
7
|
8
7/8~7/8
[공연]故)매헌 김숙자에서 매양 이정희로 이어지는 제자들
|
10
|
11
|
12
7/12~7/12
[행사]<2025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 다노네, 다노세
|
||
13
7/13~8/10
[공연]상상동물과 떠나는 어린이 풍류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31~7/31
[공연]2025 굿GOOD보러가자 춘천
|
|
|
7/1 (화) |
|
---|---|
7/2 (수) |
7/2~7/7
[전시]다섯 개의 창, 하나의 궁 『경복궁 생각』
|
7/3 (목) | |
7/4 (금) | |
7/5 (토) | |
7/6 (일) | |
7/7 (월) |
|
7/8 (화) |
7/8~7/8
[공연]故)매헌 김숙자에서 매양 이정희로 이어지는 제자들
|
7/9 (수) | |
7/10 (목) |
|
7/11 (금) |
|
7/12 (토) |
7/12~7/12
[행사]<2025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 다노네, 다노세
|
7/13 (일) |
7/13~8/10
[공연]상상동물과 떠나는 어린이 풍류
|
7/14 (월) |
|
7/15 (화) |
|
7/16 (수) |
|
7/17 (목) |
|
7/18 (금) |
|
7/19 (토) |
|
7/20 (일) |
|
7/21 (월) |
|
7/22 (화) |
|
7/23 (수) |
|
7/24 (목) |
|
7/25 (금) |
|
7/26 (토) |
|
7/27 (일) |
|
7/28 (월) |
|
7/29 (화) |
|
7/30 (수) |
|
7/31 (목) |
7/31~7/31
[공연]2025 굿GOOD보러가자 춘천
|
※ 캘린더 내 행사 및 축제 일정은 변동될 수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주최측에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공연명 : <2025 이수자 공연 지원사업> 최정윤의춤 열 번째 이야기 <빛: 추다>
2. 공연일시 : 2025.07.05. 토 18:00
3. 공연장소 : 한국문화의집 KOUS
4. 티켓 : S석(10,000원), R석(20,000원)
5. 예매 : 전화예매
6. 문의 : 010-4862-9967
7. 주최 : 어람풍경무용단
8. 주관 : 국가무형유산 태평무, 종묘제례악 일무
9. 후원 : 국가유산진흥원, 국가유산청
<공연 내용>
○ 한영숙제 박재희류 태평무
○ 이매방류 살풀이춤
○ 휘율 (철가야금 산조)
○ 매향무 (부채입춤)
○ 진주교방굿거리춤
○ 우도꽃장구
<출연진>
○ 무용 : 최정윤, 김보영, 정소연, 이규빈, 이수림, 신영선, 오수연, 장인숙, 김연진, 노수연, 김채린, 심지윤
○ 악사 : 이관웅, 김연수, 박종훈, 이성준, 이정훈, 김나영, 정성수, 한아름

1. 공연명 : <2025 이수자 공연 지원사업> 유지숙의 춤 : 사제의 발자취
2. 공연일시 : 2025년 07월 03일 (목) / 오후 7시 30분
3. 공연장소 : 한국문화의집 KOUS
4. 티켓 : 무료
5. 문의 : 010-4709-2060
6. 주최/주관 : 국가무형유산 살풀이춤 이수자 유지숙
7.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8. 기획/운영 : 사회적협동조합 문화공장
<공연 내용>
○ 프로그램 소개
전통 무용의 섬세한 움직임과 일상의 소소한 감동이 어우러져, 관객들로 하여금 잊혀진 기억과 따스한 공감을
다시금 깨닫게 하는 예술적 치유와 여정을 선사하는 공연입니다.
○ 프로그램
- 연흥무
- 호남검무
- 살풀이춤
- 입춤소고
- 금고양의무
<출연진>
○ 특별출연 : 진유림
○ 사회 : 인승현(Artist Coach 영감)
○ 사진 : 유근
○ 디자인 : 조성규
○ 출연자 : 임예린, 정한나, 이채영, 김시현, 이연정
○ 연주자 : 박종훈, 박영식, 하동민, 박나예, 김어진, 배호영

1. 공연명 : <2025 이수자 공연 지원사업> 평택농악의 류 ‘流’
2. 공연일시 : 2025년 7월 8일(화) 저녁 7시
3. 공연장소 : 충청남도 학생교육문화원 대공연장
4. 티켓 : 전석 무료
5. 주최/주관 : 평택농악 이수자 강호섭
6.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공연 내용>
존경하는 내빈 여러분, 그리고 평택농악을 아끼고 사랑해주시는 모든분들께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오늘 이 자리에서는 평택농악의 맥을 잇고자 정성을 다해 수련해온 이수자들이 그간 갈고닦은 기량을 바탕으로 첫무대에 서게 되었습니다.
이번 공연은 단순한 예술발표의 자리를 넘어, 전통의 가치를 오늘에 되새기고 내일로 이어가는 '전승의 실천'이라는 점에서 더욱 뜻깊습니다.
이 모든 과정의 중심에는 광택농악을 삶으로 실천해오신 전승자 여러분의 헌신과 노력이 있었습니다. 깊은 예와 정신을 담아 후학을 길러오신 전승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경의를 표합니다. 아울러, 그 가르침을 받들어 장단 하나, 걸음 하나에 혼을 담아온 이수자 여러분께도 아낌없는 격려의 박수를 보냅니다. 국가무형유산 평택농악은 단지 소리와 굿의 전통을 넘어 공동체의 삶과 정서를 고스란히 품고 있는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오늘 무대에 오른 이수자들의 올림은 그 정신을 계승하고자하는 진지한 다짐이며, 평택농악의 미래를 밝히는 희망의 서곡입니다.
아무쪼록 오늘의 공연이 여러분 모두에게 깊은 감동과 울림으로 전해지기를 바라며, 앞으로도 평택농악이 더욱 활발히 계승, 발전해 나갈 수 있도록 변함없는 관심과 성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7월 8일
사단법인 국가무형유산 평택농악보존회 회장
유성열
○ 이성호류 고사덕담 _ 강호섭, 김용태, 임종현, 윤현진
- 선고사(덕담)와 뒷불자(염불)로 구성되는 고사는 대개 한 해 동안 집안의 액운을 물리치고 재수 소망을 빌어주는 내용으로 되어있다. 놀이판에서의 고사는 관객의 복을 빌고, 놀이판을 정화하며 놀이가 무탈하게 잘 끝나기를 소원하는 의미가 담겨있다. 이를 이성호류 고사소리로 풀어내 공연의 시작을 알린다.
○ 평택농악 판굿 _ 강호섭, 한창현, 이응규, 박은현, 심경순, 임종현, 설현정, 윤현진, 최영광, 문현식, 김용태, 최민준, 박진우, 김현기, 진두인, 김준하, 장효승, 최원
- 평택농악 판굿의 전반적인 흐름을 느낄 수 있는 인사굿, 돌림법고, 당산벌림, 오방진, 좌우치기, 쩍쩍이 춤(연풍대)으로 구성하였다. 다양하고 화려한 진풀이와 칠채, 잦은 삼채와 같은 독특한 가락을 느낄 수 있다.
○ 이성호류 쇠놀이 _ 강호섭, 한창현
- 웃다리 판굿에서 상쇠가 쓰는 상모를 북상 또는 개꼬리상모라한다. 북상을 세워 좌, 우, 좌로 우, 좌, 우로 흔드는 이성호류 북상놀음에 강호섭의 멋을 더한 상쇠놀음(개인놀이)을 선보인다. 더드래기, 굿거리 덩더궁이 잦은 가락의 순서로 구성하여 개꼬리가 춤을 추는 듯한 웃다리 북상 쇠놀이를 선보인다.
○ 김용래류 소고놀이 _ 김용태, 김현기
- 평택농악 인간문화재인 김용래 명인의 소놀이를 재해석하여 선보인다. 담백한 쩍쩍이춤과 빠르고 경쾌한솟음법고가 대표적이다.
○ 버나놀이 _ 최영광, 문현식, 최민준
- 곰방대나 꼬챙이로 납작한 접시 모양의 버나를 돌리고 날리는 '버나놀이'를 재담과 함께 선보인다.
다리사위, 좌우치기, 매 받는 사위, 던질사위로 구성되어 다양한 기예를 맛볼 수 있다.
○ 이경일류 무동놀이 _ 최영광, 문현식, 김용태, 진두인, 이응규, 최민준, 김준하, 장효승, 최원
- 평택농악의 백미로서 단무동, 맞동니, 삼무동, 앞뒤꼰두, 던질사위, 곡마단순으로 이어진다.
○ 열두발 상모놀이 _ 박진우
- 긴상모를 돌리며 춤을 추는 상모놀이로서 마지막 흥을 돋우고 마당을 정리하고, 관객들에게 마지막 인사를 하고자 한다.
<평택농악의 류>
평택농악은 단체종목으로서 다양하고 전문성이 뛰어난 예인들이 많이 있었지만, 초대 보유자 선생님들의 명성에 가려서 주목받지 못한 분들이 많다. 작고하신 평택농악 예인들의 기능들을 바디로 삼아 복원하고, 더늠하여 평택농악의 류파를 만들고자 한다. 평택농악 2대 상쇠였던 평택농악 전교육사 故이성호(1940년생)의 고사소리, 북상놀음과 현 평택농악 보유자 김용래(1939년생)의 소고놀이, 평택농악 전승교육사 故이경일(1942년생)의 무동놀이를 재현하고자한다.
아울러 평택농악을 지켜 오신 비슷한 연배인 위 3분에게 깊은 감사와 존경을 드립니다.
<출연진>
○ 사회, 태평소 : 진두인
○ 쇠 : 강호섭, 한창현
○ 징 : 이응규
○ 장구 : 박은현, 심경순, 임종현
○ 소고 : 최영광, 문현식, 김용태, 최민준, 박진우, 김현기
○ 무동 : 김준하, 장효승, 최원

1. 공연명 : <2025 이수자 공연 지원사업> 장효선의 서도소리 : 學無止境(학무지경)
2. 공연일시 : 2025. 07. 06. (일) / 오후 4시
3. 공연장소 : 한국문화의집 KOUS
4. 티켓 : 무료
5. 문의 : 010-7353-1924
6. 주최/주관 : 국가무형유산 서도소리 이수자 장효선
7.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8. 기획/운영 : 사회적협동조합 문화공장
<공연내용>
○ 프로그램 소개
- 喜, 怒, 哀, 樂이 아닌, 서민들의 삶 속에 숨겨진 다양한 감정과 이야기를 담고 있음을 여러분께 알리고자 합니다. 민요의 재치 있는 재담과 은은한 감성은 과거와 현재를 잇는 다리와 같아, 관객 여러분 각자가 자신의 이야기를 발견하고 위로받을 수 있는 소중한 경험이 될 것입니다.
민요가 지닌 진솔한 내면의 이야기와 감정의 파노라마를 새로운 시각으로 조명하는 계기가 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여러분이 민요 속에 담긴 깊은 의미와 공감의 힘을 경험하며, 삶의 다양한 모습을 다시 한 번 돌아보고자 합니다.
○ 프로그램 내용
- 추풍감별곡
- 봉황곡
- 공명가
- 제전
- 초로인생
- 배따라기, 자진배따라기
<출연진>
○ 사회ㅣ유은선
○ 출연진ㅣ신원섭(장구), 이선화(거문고), 이평은(갸야금), 이찬우(피리)

1. 공연명 : <2025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 김무길의 표목
2. 일시 : 2025년 07월 05일(토) 오후 17시
3. 장소 : 국가무형유산 전수교육관 민속극장 풍류
4. 티켓 : 무료 / 전석초대
5. 주최 : 국가무형유산 거문고산조 전승교육사 김무길
6. 주관 : 동빈현음회, 위뜰
7.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8. 예매 : 전화문의, 현장예매
9. 문의 : 010-5561-4074
<프로그램 소개>
○ 신쾌동류 거문고 긴산조 합주
- 거문고 : 채주병, 최재희, 김미선, 권민정, 허익수, 이민영, 조혜은
- 장단 : 최영진
○ 김무길류 거문고산조 합주
- 거문고 : 허익수, 손채영, 정인령, 남초롱, 김두향, 김진서, 최용석, 김나영, 이태강, 정지호, 유선진, 윤별, 이호연
- 장단 : 최영진
○ 거문고 병창 - 남도민요 <흥타령>, <수궁가 중 “토끼가 살아났다고 신명내는 대목”>
- 병창 : 김미선, 남초롱, 박경은, 이세영, 이태강, 정지호, 김유라
- 장단 : 이창훈
○ 신쾌동류 거문고 짧은산조 합주
- 거문고 : 김무길, 마현경, 조유임, 송호은, 김태례, 이경래, 박은지, 신소영, 성유미, 정유진, 윤별, 홍준희, 윤관녕, 신수아, 이호연, 서효진, 오선경, 추민수, 이서진, 박세현, 양가은, 조재영, 정채은
- 장단 : 최영진
<출연진>
○ 김무길 외 45명

1. 공연명 : <2025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 주현제사직의(춘천사직제)
2. 공연일시 : 2025년 7월 4일 (금) 11:00~12:00
3. 공연장소 : 낙원문화공원(제2호 문화공원)(강원도 춘천시 낙원동 86-1)
4. 티켓 : 무료
5. 문의 : 02-765-2124/2125/2774
6. 주최/주관 : 사단법인 국가무형유산 사직대제보존회
7.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춘천시청, 춘천농협
<공연 내용>
○ 토지를 관장하는 사신(社神)과 곡식을 주관하는 직신(稷神)에게 올리는 주현사직제를 지방사직단에서 봉행함으로써 국가무형유산 전승보전과 소중한 민족문화의 계승에 기여하고자 함.
○ 우리의 전통의례인 국태민안과 풍년을 기원하는 사직제를 춘천시민들에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함.
<출연진>
○ 이수자 이복용 외 이수자/전수교육생 등 18명

1. 공연명 : <2025 이수자 공연 지원사업> 가야금병창극 보은표 박씨
2. 공연일시 : 2025년 7월 9일 저녁 7시 30분
3. 공연장소 : 수림문화재단 김희수아트센터 SPACE 1
4. 티켓 : 20,000원
5. 예매 : NOL TICKET (https://tickets.interpark.com/goods/25008539)
6. 문의 : 010-9624-2835
7. 주최 : 국가무형유산 가야금산조및병창 이수자 이은희
8. 주관 : 이은희가야금병창연구소, 미향아트컴퍼니(Beauty of Sound)
9.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수림문화재단
<공연 내용>
가야금병창의 레퍼토리를 확장하고자 기획된 이은희의 창작 프로젝트로, 흥보가를 현대적 감성으로 재해석한 창작 음악극이다. 본 작품은 박귀희류·안숙선류의 가야금병창 흥보가와 박록주제 판소리 흥보가를 음악적으로 재구성하여, 전통의 틀 안에서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12현, 25현, 철가야금을 비롯해 피리, 생황, 아쟁, 거문고, 타악, 퍼커션 등 다양한 국악기가 어우러져 다성적이고 풍성한 사운드를 구현하고, 연극적 요소를 더해 극적 표현력을 극대화하고자 한다. <보은표 박씨>는 단순한 전통 재현을 넘어, 동시대 관객이 공감하고 즐길 수 있는 다층적 예술경험을 지향한다.
<출연진>
○ 대표 연주자/가야금병창 - 이은희
○ 피리/생황/퍼커션 - 오초롱
○ 아쟁 - 김범식
○ 가야금병창/거문고/배우 - 조현일
○ 타악/배우 - 김솔지
○ 타악/퍼커션 - 조봉국
○ 연출/대본 - 박정봉
○ 기획/운영총괄 - 최승희
○ 조연출 - 민새희
○ 음향 - 이희찬
○ 조명 - 김현민
○ 기록촬영 - 프로덕션 이리
○ 드라마터그 - 정다미

1. 공연명 : <2025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 가곡 렉처 콘서트 - 월하의 가사와 마주하다
2. 공연일시 : 2025년 7월 9일 (수) 저녁 7시30분
3. 공연장소 : 국립국악원 풍류사랑방
4. 티켓 : 전석 초대
5. 예매 : 사전 예약 필수
6. 문의 : 010-6737-1902
7. 주최 : 국가무형유산 가곡 보유자 김영기
8. 주관 : 김영기가곡보존회
9.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공연 내용>
가사, 시간을 거슬러 흐르다.
단순한 노랫말을 넘어 마음을 울리고 감정을 초월하는 서정의 세계, 그 깊이를 가늠할 수 없는 세계로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이번 렉처콘서트 <월하의 가사와 마주하다>는 김월하의 노래에 나타나는 독특한 시김새와 도도히 흐르는 선율을 중심으로, 가사의 미학을 깊이 있게 탐구하는 무대입니다.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져 빚어내는 여운을, 가객의 섬세한 감성으로 경험할 수 있는 자리입니다.
이 공연을 통해 가사에 깃든 이야기와 선율이 어떻게 하나가 되어 감동을 전하는지, 그 깊이를 함께 탐색하는 시간이 되기를 바랍니다.
<프로그램>
○ 춘면곡
○ 수양산가
○ 황계사
<출연진>
○ 예능보유자 : 김영기
○ 이수자 : 이아름, 박희수, 장명서
○ 전수자 : 최여완
○ 율객 : 대금/ 전인근, 해금/ 성연영, 장고/ 이건형

1. 공연명 : <2025 전승자 주관 기획행사> 다노네, 다노세
2. 공연일시 : 2025년 7월 12일(토요일) <17:00>
3. 공연장소 :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 (공연장)
4. 티켓 : 무료
5. 예매 : 강릉단오제전수교육관 홈페이지 예매 www.gn.go.kr/dano/
6. 문의 : 033-643-1301
7. 주최/주관 : 강릉단오제보존회
8. 후원 : 국가유산청, 국가유산진흥원
<공연 내용>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유산‘강릉단오제’의 핵심적인 요소(제례, 단오굿, 관노가면극)를 하나의 작품으로 재구성하여 무대화시킨 작품
○ #1 청신: 신을 맞이하다.
- 제례
- 부정
○ #2 오신: 신과 함께 노닐다.
- 성주굿
- 관노가면극
○ #3 송신: 신을 고이 보내드리다.
- 등노래굿
<출연진>
○ 제례 : 박종승, 김시원, 함영호, 함종식, 전상만, 김혁기, 장기영, 유택환, 조문현, 권혁원
○ 단오굿(무속악) : 빈순애, 김운석, 김은영, 신희라, 정지용, 박순여, 이건환, 황영기, 김민석, 성휘경, 박혜미, 이혜미, 한민경, 원현식, 김영우, 이지희
○ 관노가면극 : 심승호, 황문수, 김문겸, 김용태, 최종봉, 김주백, 김민수, 김태기, 오광현, 김현수, 윤정희, 신정호, 이건구

1. 공연개요
○ 공연일정 : 2025. 7. 31.(목) 19:30~21:10(100분/예정)
○ 공연장소 : 춘천문화예술회관(강원 춘천시 효자상길5번길 13)
○ 주최/주관 : 국가유산청/국가유산진흥원, 춘천시
○ 관람요금 : 무료
2. 공연내용
○ 가야금 산조
- 이영희(국가무형유산 가야금 산조 및 병창 보유자)
- 김민지(국가무형유산 가야금 산조 및 병창 이수자)
○ 축원
- 강릉단오제보존회(빈순애(국가무형유산 강릉단오제 보유자) 외))
○ 팝핀현준&박애리
- 박애리(국가무형유산 판소리 이수자)
- 팝핀현준(백석예술대학교 실용댄스학부 교수)
○ 김주홍과 노름마치X전제선
- 김주홍과 노름마치(김주홍(예술감독/타악), 이호원(타악), 김하람(타악), 오영빈(피리, 태평소), 권다영(가야금))
- 전제선(강원무형유산 정선아리랑 이수자)
○ 전통단막극 놀부막
- 강민수(국가무형유산 진도 다시래기 전승교육사)
- 채규룡(국가무형유산 진도 다시래기 이수자)
○ 창작국악(퓨전)
- The 세로(윤세미(가야금), 이승민(소리), 김범식(아쟁), 양성태(타악))
- 추리밴드(김동환(보컬, 연희), 권교휘(보컬, 연희), 권혁주(보컬, 연희), 이동준(보컬, 연희), 나옥균(드럼), 이경일(색소폰))
3. 예매안내
○ 예매기간 : 2025. 7. 14.(월) 14:00~
○ 예매방법 : 춘천문화재단 홈페이지(공연전시>굿보러가자) https://www.cccf.or.kr/Home/H10000/H10200/concertList
○ 관람요금 : 무료
4. 문의
○ 춘천시청 문화예술과 : 033-250-3076(예매 관련)
○ 국가유산진흥원 공연진흥팀 : 02-3011-1720(공연 내용 관련)

1. 전시명 : 다섯 개의 창, 하나의 궁 『경복궁 생각』
2. 전시기간 : 2025. 7. 2.(수) ~ 7. 7.(월) [6일]
3. 전시장소 : 경복궁 야외 권역(5곳) 및 생과방 전각 내부
4. 주최/주관 : 국가유산청 / 국가유산진흥원
5. 관람시간 : 경복궁 운영 시간과 동일
6. 관람료 : 무료 (경복궁 입장료 별도)
7. 문의 : 헤리티지미디어팀 02-3011-2661
<전시 내용>
[야외전시 : ‘ASMR 동심원*(조형물)]
○ 장소 : 동심원(조형물) 설치 위치
- ① 금천교 인근 마당 ② 근정전 좌측 행각 내 ③ 경회루 옆 녹지 ④ 향원정 인근, 건청궁 옆 대지 ⑤ 교태전, 자경전 사이 대지
○ 전시 내용 : 경복궁 야외 권역 중 5개 지점에 각 위치별 조형물 1개씩 설치
- 관람객 1명씩 조형물로 진입, 조형물 외부에 설치된 QR 스캔을 통해 슈퍼주니어 예성의 목소리로 녹음된 경복궁 이야기 ASMR을 청취하며, 조형물 내부에 뚫린 창문을 통해 경복궁의 풍경을 감상 하실 수 있습니다.
- ‘영제교 동심원’ : 경복궁의 시작과 북악산, 인왕산의 상징성
- ‘근정전 동심원’ : 박석과 회랑, 예와 법을 중시한 ‘조선’을 표현
- ‘경회루 동심원’ : 경회루의 그림자를 통해 당시 연회와 외교 이야기
- ‘향원정 동심원’ : 전통과 현대가 교차하는 서울의 풍경을 담음
- ‘교태전 동심원’ : 탄생의 신비를 의미
[실내전시 : 경복궁에서 만나는 국가유산]
○ 장소 : 경복궁 생과방 전각 내부
○ 전시 내용 : 국가유산의 아름다움과 가치를 담은 ‘국가유산채널’ 영상을 보며 쉼과 사색을 즐길 수 있다.
- 대형 디스플레이를 통해 루프 영상 송출, 관람객은 전시 공간 대형 화면으로 한국의 국가유산이 지닌 고품격 영상미를 감상 하실 수 있습니다.
8. 오시는 길
○ 지하철
- (도보 2분) <3호선> 경복궁역 5번 출구
- (도보 6분) <3호선> 안국역 1번 출구 <5호선> 광화문역 2번출구
○ 버 스 : 경복궁 하차(경복궁 방향 도보 3분)
- 간선 109, 171, 272, 601, 606, 710
- 지선 1020, 7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