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남아돌복, 男兒禮服, Boy’s First Birthday Clothes

· 시대 : 대한제국, 일제강점기

· 신분 : 상류층 / 남자

· 출처 : 사진엽서[탄생축] ( 부산광역시립박물관 )/『밥해 먹으믄 바느질허랴, 바느질 아니면 빨래허랴』 ( )/평생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생도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의례복 남아돌복 쓰개 호건 어린이용 복건
쓰개 복건
쓰개 굴레
겉옷 까치두루마기 오방장두루마기
겉옷 전복
아래옷 풍차바지
돌띠

돌복은 출생 후 처음 맞는 생일에 입는 옷으로 생일을 축하하고 오래 살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아 입히는 복식이다. 첫돌은 아동의례 가운데 의례적인 성격이 가장 강하므로 다른 의례에 비해 복식을 갖추어 입히는 경우가 많아 ‘첫돌 일습’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첫돌 복식부터는 남아와 여아의 성별에 맞게 옷을 입혔다. 남아는 주로 보라색 또는 흰색 풍차바지에 분홍 저고리색동저고리, 남색 조끼, 색동마고자에 까치두루마기와 전복(戰服) 혹은 사규삼을 입었고, 허리에는 돌띠를 두르고 머리에는 복건이나 호건을 썼으며, 타래버선태사혜를 신었다. 돌 이전의 아동은 주로 담색 위주의 복식을 입힌 반면, 돌복은 화려한 색상의 옷을 갖추었다. 다양한 색상을 사용한 복식(색동저고리⋅색동마고자⋅오방장두루마기⋅까치두루마기)을 갖춤으로써 나쁜 기운을 막고 아이의 무병장수를 기원하였다. 첫돌 의례복식의 구성은 개인적인 상황이나 시대의 흐름에 따라 구성요소가 가감되기도 하였지만 의례복식은 일반복식에 비해 유행보다는 전통을 따르는 경우가 많아 일상복이 서구화되어가는 일제강점기에도 돌복은 전통을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참고문헌

국립민속박물관(2017), 『한국 의식주 생활사전』.

국사편찬위원회(2006), 『옷차림과 치장의 변천』, 두산동아.

김정아(2011), 「개항기 이후 한국 아동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조풍연(1996), 『사진으로 보는 조선시대(속) 생활과 풍속』, 서문당.

[집필자 : 정미숙(鄭美淑), 실학박물관]
  • 돌잔치 풍속화(광복 이후)
    돌잔치 풍속화(광복 이후)
    국립민속박물관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