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별감복, 別監服, Attire for Royal Guard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기타(별감) / 남자

· 출처 : 대쾌도(18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왕세자입학도첩(1817년)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기타 별감복 쓰개 초립
쓰개 망건 관자
겉옷 직령 홍직령
겉옷 철릭
허리띠 세조대 동다회, 술띠
버선 버선
신발 흑혜
기타 부채 접선

별감(別監)은 액정서라는 관청에 소속되어 궁중의 각종 행사에 동원되었고 왕의 행차 때에는 어가를 시위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소속과 직책에 따라 대전별감, 중궁전별감, 세자궁별감, 세손궁별감, 무예별감, 봉도별감 등으로 불렸다. 품계는 없었지만 왕실에 가까이 있고 궁중행사에 참여하므로 복식이 매우 화려하였다.
법전에 기록된 별감복은 상황에 따라 구분되었으며 시대에 따른 변화를 보인다. 조선전기 『경국대전』을 보면 공복(公服)으로는 자건(紫巾)을 쓰고 청단령(靑團領)을 입고 허리에 도아(絛兒)를 띠고, 상복(常服)으로는 주황초립(朱黃草笠)을 쓰고 직령(直領)을 입고 허리에 도아를 띠도록 규정하였다. 조선후기 『속대전』에서는 공복으로 황초립에 홍색 직령, 크고 작은 조정의 의식[大小朝儀]이 있을 때에는 자건에 녹색 직령, 교외로 나가 어가행렬을 시위할 때에는 황초립에 홍색 철릭[帖裏]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별감의 소속은 머리에 쓰는 건 또는 초립의 색상으로 구분하였다. 대전별감의 건은 일정하게 자적색인 반면, 세자궁별감의 건은 조선 초기에 청색, 중기 이후 흑색, 다시 청색으로 기록되었다가 말기에는 초록색으로 변화하였다. 초립의 색은 황색 혹은 주황색이었으나 세자궁별감은 흑색 초립[黑草笠]을 썼다.
이처럼 별감의 소속, 착용상황, 시대에 따른 차이가 있기 때문에 별감복은 여러 가지 모습으로 발견된다. 조선후기 회화자료를 보면 황색 초립에 호수(虎鬚)를 꽂고 때로는 공작깃털[孔雀尾]을 꽂아 장식하였으며, 추울 때에는 초립 아래로 방한용 모자인 이엄(耳掩)을 쓰기도 하였다. 궁중 내 행사장면에서는 앞은 낮고 뒤는 높은 자색 두건을 쓰고 초록색 직령을 입은 모습을 불 수 있고, 검정색 두건인 조건을 쓴 모습도 있다.
황색 초립을 쓴 경우에도 상황에 따라 홍색 직령을 입거나 철릭을 입었으며, 가슴에 매듭띠를 묶거나 허리에 청색 직물로 만든 대를 묶었다. 
 

참고문헌

『경국대전(經國大典)』, 『속대전(續大典)』, 의궤(儀軌), 실록(實錄).

송혜주(2003), 「조선시대 중인 복식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손윤혜(2012), 「조선후기 왕세자 입학례 복식 고증」, 안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은주, 진덕순, 이정민(2018),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평정모(平頂帽)의 명칭 검토와 제작방법」, 『문화재』 51(2), 국립문화재연구소.

[집필자 : 박가영(朴嘉玲), 숭의여자대학교]
  • 화성원행의궤도(1795년)
    화성원행의궤도(1795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