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악공복, 樂工服, Musician Attire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악공 / 남자

· 출처 : 신축진찬도병풍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관복 악공복 쓰개 복두 화화복두
겉옷 단령 홍주의
허리띠 야자대 오정대
신발 화(화자) 흑피화

악공은 궁중이나 관아에 소속되어 주로 속악을 연주하는 연주자를 말한다. 『악학궤범』에 따르면 성종대의 악공은 종묘제례 시 등가와 헌가, 문소전⋅연은전⋅소경전 등의 전상악과 전정악, 전정헌가와 전정고취, 전부고취와 후부고취, 그리고 정전예연 등 다양한 예연에 참여하였다. 조선전기의 악공복식은 후기의 악공복에 비해 다채롭고 세분화되어 있었다. 이 시기 연주자는 장악원(掌樂院)의 좌방에 속하여 아악을 연주하는 양인 출신의 악생(樂生)과 장악원의 우방에 속하여 향악과 당악을 연주하는 공천(公賤) 출신의 악공으로 구분된다. 이 둘의 복식은 대체로 비슷하면서도 세부적인 차이가 있었다.
이중 악공은 연주 상황이나 곡에 따라 다른 복식을 착용하였다. 흰색으로 만든 중단[白紬中單]․바지[白紬袴]․버선[白襪]의 기본복식은 공통적이지만, 첫째, 개책(介幘)을 쓰고 비란삼(緋鸞衫)을 입은 후 백주대(白紬帶)를 매고 오피리(烏皮履)를 신은 차림, 둘째, 꽃을 꽂은 검은색 관모에 붉은 끈을 두르고[紅抹額揷花烏冠] 모란꽃 흉배가 달린 홍주삼(紅紬衫)이나 녹주삼(綠紬衫)을 입은 차림, 셋째, 꽃그림이 그려진 복두[畫花幞頭]를 쓰고 작은 꽃무늬 흉배가 달린 홍주삼을 입으며 오정대를 맨 차림, 넷째, 녹색 비단 두건[綠紬頭巾]을 쓰고 흑단령(黑團領)을 입은 차림, 다섯째, 강무나 행행 때에는 융복(戎服) 차림을 하였다. 조선후기 악공과 취고수의 복식은 각각 세 번째와 다섯 번째의 복식이 전해진 것이다.
예연인 궁중정재를 올릴 때 악기를 연주하던 악공(樂工)은 복두(幞頭)를 쓰고 단령 형태의 홍주의(紅紬衣)를 입고 허리에 야자대(也字帶)를 매고 신목이 올라오는 화(靴)를 신었다. 조선후기 궁중기록화와 의궤에서 보이는 악공의 대표적인 옷차림은 검은색 바탕에 꽃을 그린 화화복두(畵花幞頭)를 쓰고, 붉은색 명주로 만든 를 입고 검은색 가죽 허리띠인 오정대(烏鞓帶)를 매고 검은색 가죽으로 만든 흑화(黑靴)를 신은 모습이다. 이때 오정대는 길이가 긴 일자형 허리띠로서 허리를 한 바퀴 두르고 남은 부분을 허리띠에 끼워 늘어뜨렸는데, 이 모습이 也라는 글자와 비슷해서 야자대 혹은 야대라고 불렀다.
같은 그림에서 초록색 단령을 입은 사람은 지휘자 역할을 했던 전악(典樂)으로서, 검은색 모라복두(冒羅幞頭)를 쓰고, 녹초삼(綠綃衫)을 입고 은야대(銀也帶)를 두르고 흑피화(黑皮靴)를 신었다. 즉 지휘자인 전악과 연주자인 악공을 비교해보면 복식의 구성품목은 같았지만 색상, 문양, 옷감에 차이가 있었다. 악공복식과는 전혀 다른 복식을 입은 악기 연주자도 있었는데, 오늘날의 군악대에 해당하는 취고수(吹鼓手)는 황초립을 쓰고 황색 철릭은 입은 후 남색 전대를 매었다. 
 

참고문헌

『악학궤범(樂學軌範)』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의궤(儀軌), 실록(實錄)

박가영(2004), 「『악학궤범』 복식의 착용에 관한 연구」, 『국악원논문집』 16, 국립국악원.

국립고궁박물관 편(2014), 『왕실문화도감 : 궁중악무』, 국립고궁박물관.

[집필자 : 박가영(朴嘉玲), 숭의여자대학교]
  • 악공복식의 구성품목
    악공복식의 구성품목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