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유생복, 儒生服, Confucian scholar’s attire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상류층 / 남자

· 출처 : 단원풍속도첩, 그림감상(18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왕세자입학도(1817년)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관복 유생복 쓰개 유건 민자건
쓰개 복건
겉옷 도포
허리띠 세조대 동다회, 술허리띠
신발 화(화자)

유생은 유학을 공부하는 선비 또는 생원시⋅진사시에 합격한 선비를 일컫는 말로 청금(靑衿)이라고도 하였다. 조선시대 유생복은 관모⋅청금복⋅세조대⋅흑화로 구성되었는데, 시기에 따라 관모와 청금복의 구성이 달랐다. 조선후기 유생은 노상에서는 갓을 착용하였으나, 성균관⋅향교⋅과거시험장 등지에서는 유건을 착용하였다. 유건은 검정색 옷감을 접어서 만든 것으로 앞쪽은 선비처럼 꼿꼿하게 세운 형상이고 뒤쪽은 민(民)자 모양[前士後民]으로 된 관모이다.
유생이 입는 포를 청금 또는 청금복이라고 하였는데 청금복이라는 명칭은 달라지지 않았으나 시기에 따라 청금복으로 사용된 포는 달랐다. 청금복으로 조선 전기에는 난삼과 홍단령이 사용되었고, 왜란과 호란 당시에는 일시적으로 융복이 사용되기도 하였다. 17세기 초에는 관내에서는 홍단령을 입고 관외에서는 직령 대신 도포를 착용하다가 18세기 이후에는 관내와 관외에서 모두 도포를 입었다.
당시 조정에서 유생의 도포 착용을 금지하였으나 독자적 세력으로 결집된 유생들의 의지로 결국 정조대에 도포가 유생복으로 정착하게 되었다. 도포는 옷깃이 곧고 소매가 넓고 풍성한 형태로서, 뒷자락이 겹으로 이루어진 것처럼 보이는 것이 특징이다. 유생복으로 사용된 도포의 색상은 주로 청색이나 흰색이었다. 가슴부분에 양 끝에 딸기술이나 봉술이 달린 세조대를 둘렀는데, 녹색이나 청색이 주로 사용되었다. 신발은 목이 긴 장화형태의 검은색 화를 신었다. 
 

참고문헌

윤다영(2021), 「18C 유생복식의 변천에 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진덕순(2019), 「조선 유생의 문과 급제와 복식문화 연구」, 안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집필자 : 이주영(李珠英), 동명대학교]
  • 풍속화(19세기)
    풍속화(19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