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일상복Ⅵ, 日常服Ⅵ, Everyday clothesⅥ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일반 / 여자

· 출처 : 월하정인(19세기) ( 간송미술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일상복 일상복 머리모양 얹은머리
쓰개 쓰개치마
웃옷 저고리 회장저고리
아래옷 치마
신발 당혜, 운혜

조선시대에는 유교적인 내외의 관습으로 신분을 막론하고 장시간 외출을 하는 경우엔 많은 여성들이 형편에 맞는 것을 택하여 얼굴을 가리곤 하였다. 『조선여속고(朝鮮女俗考)』에 “양반의 처는 낮에 나갈 때 반드시 옥교(玉轎)를 타고 비복(婢僕)을 거느리며 혹 밤에 걸어 다닐 때는 반드시 치마로 얼굴과 몸을 감추며 촛불을 든 비복이 앞장서고…”라는 내용을 통해서 조선시대 양반 부녀자들이 가마를 타지 않고 걷게 될 때는 반드시 쓰개치마로 얼굴과 몸을 가리도록 했음을 알 수 있다. 조선후기의 풍속화에는 치마저고리를 입은 후 쓰개치마를 머리부터 쓰고 있는 기녀로 추정되는 여인이 묘사되어 있다. 몸을 감쌀 수 있는 넓이의 치마 모양을 한 쓰개는 흰색 허리말기를 넓게 하여 머리를 감싸도록 하였다.
깃, 끝동 등을 자주색으로 장식한 회장저고리를 입고 넓고 긴 남색 치마를 위로 걷어 올려 허리끈으로 질끈 묶어주었다. 치켜 올린 치마 아래로 붕어배래 모양의 바지를 입었으며 버선발에 당혜나 운혜를 신었다. 
 

참고문헌

『朝鮮女俗考』 禁閉婦女儒敎之制 5 屋轎長衣.

박성실외(2005), 『조선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집필자 : 이명은(李明恩),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