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기녀복, 妓女服, Ginyeo's costume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기타(기녀) / 여자

· 출처 : 여속도첩(19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일상복 기녀복 쓰개 전모
쓰개 가리마
머리모양 얹은머리
웃옷 저고리 견마기, 거들지
아래옷 치마 무지기, 거들치마
속옷 바지
신발 당혜, 운혜

조선시대의 기녀(妓女)는 관청에 소속되어 연회에서 노래와 춤으로 흥을 돋우는 일을 업으로 삼던 여성들로 신분상으로는 천인에 속하였다. 지배층의 남성사회에서 활동하는 직업의 성격상 학문적 소양을 갖추고 외모를 꾸미는 등 일반 천인과는 달랐다. 『조선왕조실록』 등의 기록에 따르면 기녀는 사(紗)·라(羅)·능(綾)·단(緞)을 재료로 한 복식의 착용이 허용되고, 노리개를 비롯하여 금·은으로 만든 여러 가지 장신구를 사용하는 등 양반 부녀자와 동등하게 복식의 사치가 허용되었다. 이덕무가 쓴 『청장관전서』에서 “규중 부인이 기생의 복장을 하니, 모든 부인들은 그것을 빨리 고쳐야 한다”고 한 사실에서 기녀가 여성 의복의 유행을 선도하였음을 알 수 있다.
조선 후기 기녀는 얹은머리를 하고, 격식을 갖춘 치마·저고리의 기본 복식을 하고 경우에 따라 그 위에 다른 옷을 입었고, 고운 당혜를 신었다. 상의로는 품이 작고 길이가 짧은 회장저고리를 입거나 소매 끝에 흰색 거들지가 달린 견마기를 입는 등 장식성이 강한 옷을 입었다. 하의로는 바지와 무지기 등으로 속옷을 겹겹이 입은 후 치마허리에 주름을 많이 잡아준 치마를 입어 아래가 더욱 풍성해 보이도록 하였다. 넓고 길이가 긴 치마는 자락을 걷어 올려 활동에 편리하도록 입었다. 외출할 때에는 전모(氈帽)나 가리마, 장옷, 쓰개치마를 썼으며 말을 탄 기녀들은 쾌자를 입고 치마 위에 말군을 입기도 하였다. 동기(童伎)는 땋은 머리를 하고 댕기를 드리우거나 새앙머리를 하고 비녀를 꽂았다. 
 

참고문헌
趙孝順(1988) 『韓國服飾風俗史硏究』, 一志社. 유옥경(2002), 「朝鮮時代 記錄畵에 보이는 風俗的 요소」, 『朝鮮時代 風俗畵』, 국립중앙박물관. 이대화(2004), 「朝鮮時代 守令赴任行列에 대한 一考-<安陵新迎圖>를 중심으로->」, 『역사민속학』 제18호, 민속원.
[집필자 : 이명은(李明恩),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 안릉신영도(1785년)
    안릉신영도(1785년)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동래부사접왜사도(조선 후기 추정)
    동래부사접왜사도(조선 후기 추정)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