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방한복, 防寒服, Cold-resistant suit

· 시대 : 조선시대

· 신분 : 일반 / 남자

· 출처 : 설야연적도(18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협풍속화첩, 노상풍정(19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설야연적도(18세기)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일상복 방한복 쓰개 풍차
쓰개 휘항
쓰개 소모자
쓰개 흑립
겉옷 중치막
겉옷 대창의
웃옷 저고리
아래옷 바지
신발

조선시대에는 추위를 막기 위하여 방한모를 쓰고, 바지⋅저고리는 물론 겉옷을 솜옷이나 누비옷으로 만들어 입기도 하였고, 옷감 외에 동물의 가죽이나 모피[털]로 만들어 입기도 하였다. 조선후기 일반 남자들이 썼던 대표적인 방한모는 휘항과 풍차이다. 남자의 겉옷은 형태상 옷깃에 털을 붙이거나 옷깃을 올려 입을 수 없었고 갓이나 소모자만으로는 찬바람을 막을 수 없었다. 조선 전기에는 추위에 가장 민감한 귀를 감싸기 위해 이엄(耳掩)을 썼으나 조선후기에는 휘항과 풍차를 많이 썼다. 휘항은 앞이마, 귀, 머리, 어깨, 등까지 모두 덮을 수 있을 정도로 크고 넉넉하였다. 풍차는 남바위에 볼끼가 달려 있는 형태로서 휘황보다 크기는 작지만 귀와 뺨, 턱, 어깨까지 덮을 수 있어서 추위를 막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풍차에 달린 볼끼는 사용하지 않을 때는 뒤로 젖혀 뒤통수에서 묶을 수 있었으므로 풍차는 휘황보다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휘황과 풍차는 상투를 틀고 탕건이나 소모자를 쓴 다음 그 위에 썼고, 외출할 때는 휘황과 풍차 위에 갓을 쓰고 혜를 신었다. 휘황과 풍차는 모두 정수리 부분이 트여 있는데 정수리 부분의 트임 사이로 탕건이나 소모자가 온전하게 솟아나올 수 있어서 눌리거나 망가지지 않았다. 남자들은 일상복으로 대창의와 중치막을 많이 입었는데, 방한을 목적으로 입을 때는 겨울용 옷감인 비단으로 만들거나 솜옷이나 솜누비옷으로 만들어 입었다. 방한복으로 동물의 가죽이나 모피로 만든 갖옷, 즉 구의(裘衣)도 입었는데, 주로 사슴⋅개⋅양⋅토끼⋅표범⋅담비 등의 가죽이나 모피가 사용되었다. 갖옷은 두루마기⋅방령포(方領袍)⋅저고리⋅마고자⋅배자 등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졌는데, 모피가 있는 경우 모피를 안쪽 또는 겉쪽에 대기도 하였고 옷의 전체 또는 일부에 대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강순제⋅김은정(2008), 「문헌을 통해 본 조선시대 방한모 명칭에 관한 연구」, 『服飾』 58(7), 한국복식학회.

금종숙(2014), 「조선시대 중치막 착용례와 형태 연구」, 『복식문화연구』 22(5), 복식문화학회.

김성희(2007), 「조선시대 방한모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김정호⋅이미석⋅공은하 공저(2013), 『전통쓰개와 복식공예』, 글누리.

박양희⋅최연우(2020), 「조선후기 이후 갖옷에 관한 연구」, 『한국복식』 43,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안명숙(2017), 「출토 창의류의 형태적 특징과 구성에 관한 연구-전남지역 출토 창의류를 중심으로-」, 『남도민속연구』 39, 남도민속학회.

장경희(2019), 「조선후기 한중 방한모자의 비교」, 『문화와 예술연구』 40.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집필자 : 이주영(李珠英), 동명대학교]
  • 풍속도, 야연, 가두매점(18세기)
    풍속도, 야연, 가두매점(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풍속화(18세기)
    풍속화(18세기)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