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화
· 시대 : 고려시대
· 신분 : 왕 / 남자
· 출처 : ( 조복차림 미륵하생경변상도彌勒下生經變相圖, 1350년(일본 묘만지妙萬寺, 신노인親王院) )/ ( 조복차림 미륵하생경변상도, 고려후기, (일본 묘만지妙萬寺, 지온인知恩院) )/ ( 조복차림 수월관음도 (미국, 메트로폰리탄박물관, 14세기) )/ ( 조복차림 일본 교토 대덕사 소장 수월관음도(14세기) 부분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표제어 | 연관어 |
---|---|---|---|---|
관복 | 조복 | 겉옷 | 조복 |
왕의 조복은 『고려사』에 공민왕 19년(1370) 5월 명나라에서 왕의 조복인 원유관과 강사포를 보내와 고려의 조복제도가 정비되었다. 라고 되어 있다. 그러나 그 보다 이른 시기의 고려불화에서 왕으로 추정되는 인물이 원유관과 강사포를 착용하고 있는 모습이 종종 확인되어 공민왕이 조복제도를 제정하기 이전 왕의 조복 착용에 대한 가능성을 시사하고 있다. 왕의 조복 착용 모습은 일본 신노인 소장 <미륵하생경변상도>에서 확인할 수 있는데 이를 보면 원유관은 이마 둘레가 검고, 모정은 네 개 정도의 금색 량(梁)있다. 홍색 강사포(絳紗袍)는 금색의 꽃무늬가 일정 단위로 반복 배열되었으며, 깃·수구·도련의 가장자리에 역시 무늬가 있는 검은 선[緣]이 둘러져 있다. 강사포의 뒷자락은 허리선까지 짧게 올려 묶은 모습이다. 허리에 맨 흰색 띠에 길게 늘인 매듭장식이 있다. 목 뒤에 2개의 끈을 교차하여 묶은 방심곡령으로 볼 수 있다. 강사포 안쪽의 받침옷으로 입는 중단은 소색으로 원 무늬가 표현되어 있다. 손에는 백색의 규가 있는데, 옥규로 짐작된다. 그 외 상(裳), 대(帶), 폐슬(蔽膝), 패옥(佩玉), 후수(後綬), 적석(赤舃), 버선(赤襪)의 모습은 표현되지 않다. 후수의 착용 모습은 지온인 소장 <미륵하생경변상도>에 강사포 보다 진한 홍색의 후수 모습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미국 메트로폰리탄박물관, 일본 교토 대덕사 소장의 14세기 <수월관음도>에도 조복차림이 확인되는데 고려 불화에 나타난 왕의 조복은 각기 표현에 차이가 있고, 그림이라는 한계로 인하여 정확성이 결여 된 면을 감안 하더라도 조복의 특징은 분명 반영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어 공민왕 이전의 조복 착용의 근거에 부합하는 자료라 볼 수 있다.
공민왕 19년에 명나라로부터 보내온 조복은 칠량(七樑)의 원유관(遠遊冠)과 강사포(絳紗袍)이다. 조복 구성의 세부 특징을 보면 원유관은 모정의 세로 선인 양(梁)이 일곱으로 이마 부분 중앙에 금박산(金博山) 장식에 일곱 마리의 매미 모양을 붙이고[附蟬七首], 그 위를 주취(上施珠翠-진주, 취옥)로 꾸미며, 무소뿔 재질의 비녀인 서잠도(犀簪導)가 있다. 의(衣)에 대해서는 강사포와 중단 위에 입는 홍상(紅裳), 강사포의 받침옷인 백사중단(白紗中單)은 흑령청연수(黑領靑緣袖)라 하여 흰 비단에 검은색 깃, 소매 끝은 청색 선장식[緣]에 대한 내용까지 구체적이다. 또 군(裙)과 유(襦), 앞쪽 허리 아래로 드리워 장식하는 홍색 폐슬(紗蔽膝), 백색의 허리대로 짐작되는 백가대(白假帶), 중심에 네모형의 방심(方心)을 달아 목에 두르는 방심곡령(方心曲領), 금구철(金鉤䚢) 장식이 있는 홍색 혁대[紅革帶], 흰 버선인 백말(白襪), 검은색 신인 흑석(黑舃)으로 구성되어 있다. 용도에 대해서는 “여러 신하들에게 조하(朝賀)을 받을 때 입는 옷이다.” 라고 하였다. 조복의 구성 중 손에 드는 장식인 규(圭)와 허리 양쪽에 차는 패옥(佩玉), 뒤쪽 허리 아래로 드리워 장식하는 후수(後綬)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동아대학교석당미술원국역(2011), 『고려사』, 경인문화사
문홍나영 외(2011), 동아시아 복식의 역사, 교문사
천옥박고관泉屋博古館, (2016), 「고려불화-향기로운장식미(高麗仏画-香りたつ装飾美)」 특별전 도록
-
조복차림 미륵하생경변상도彌勒下生經變相圖, 1350년(일본 묘만지妙萬寺, 신노인親王院) -
조복차림 미륵하생경변상도, 고려후기, (일본 묘만지妙萬寺, 지온인知恩院) -
조복차림 수월관음도 (미국, 메트로폰리탄박물관, 14세기) -
조복차림 일본 교토 대덕사 소장 수월관음도(14세기) 부분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