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일상예복III, 日常禮服III

· 시대 : 고려시대

· 신분 : 일반 / 여자

· 출처 : ( 설법을 듣는 여성의 일상예복, 관경변상도(일본 지온인 소장)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일상복 일상예복 겉옷 일상예복III

고려 상류층 여성들이 공양, 불교 설법, 외출과 같이 종교활동 및 일상생활을 하는 경우에도 적절한 격식을 차리기 위해 착용한 차림새이다. 『선화봉사고려도경』을 참고하면 12세기 고려 여성의 일상예복은 백저의, 황견 치마, 문릉(文綾)으로 만든 너른바지, 금제 장신구와 향낭, 속에 입는 삼(衫)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을 것이지만, 각각의 형태와 차림새를 확인할 수 있는 회화 또는 실물유물은 현재 남아있지 않다.
고려 후기 고려불화에 묘사된 상류층 여성의 일상예복 웃옷은 포를 제외하면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수월관음도(일본 다이고쿠지 소장)』의 여성 공양인처럼 치마 밖으로 밑자락을 내어입는 장저고리와, 『관경변상도(일본 지온인 소장)』에서 앉아 있는 여성처럼 치마 안에 밑자락을 넣어 입는 짧은 저고리이다. 장저고리는 소매가 넓지 않은 편이지만 길이는 길고, 치마 안에 넣어 입는 저고리는 소매가 넓은 편이며 길이는 장저고리보다 짧다.
장저고리와 함께 입는 치마는 허리에 매어 입는 길이여서 길지 않은 편이다. 반면 소매가 넓은 저고리와 착용된 치마는 가슴 부근에서 매어 입는 긴 치마이며, 『관경변상도(일본 지온인 소장)』의 치마처럼 금색 단위문이 반복되는 형식이 많다. 고려의 불복장 직물 유물을 참조하여 추정하면, 긴 치마의 재료는 금실을 문양 부분에만 돌려서 짜거나 금박을 올린 직물이다. 위의 두 가지 치마 양식은 조선 초기의 『하연부부 초상』과 『조반부부 초상』의 여성복식에도 나타난다. 이와 함께 고려 후기에 원으로 보내진 공녀들이 일상예복 겉옷으로 반비(半臂)를 유행시켰다.
고려 상류층 여성이 일상예복 차림에 하던 머리모양은 얹은머리와 느슨하게 밑으로 내려 감은 머리로 나뉜다. 『관경변상도(일본 지온인 소장)』의 여성은 얹은머리와 내린머리를 모두 조합한 차림이며, 가체(加髢)를 사용해 만든 머리로 보인다.

참고문헌

국립중앙박물관(2010), 「고려불화대전」. 서울: 국립중앙박물관

백남주(2020.05.31.), 「백남주의 한복이 있는 옛 그림 이야기(46), 관경변상도(觀經變相圖)」

서긍(1123), 조동원⋅김대식⋅이경록⋅이상국⋅홍기표 공역(2005), 「고려도경」, 서울: 황소자리

최정(2015), 고려 말 공민왕 재위기의 반야(般若) 복식 고증요소 고찰 - 불교법회 복식을 중심으로

해인사 성보박물관(2008), 「해인사 비로자나불 복장유물 특별전」, 해인사 성보박물관

菊竹淳一&정우택(1996), 「고려시대의 불화」, 서울: 시공사

[집필자 : 최정(崔楨), 원광대학교 패션디자인산업학과]

  • 설법을 듣는 여성의 일상예복, 관경변상도(일본 지온인 소장)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