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용해 고분군 출토 남자 복식, 龍海 出土 渤海 男子 服飾

· 시대 : 삼국시대, 통일신라

· 신분 : 관리 / 남자

· 출처 : ( 발해 용해고분군 출토 남자 도용 )/ ( 정효공주 무덤 서벽 악사1 )/ ( 정효공주 무덤 서벽 악사2 )/ ( 정효공주 무덤 서벽 악사3 )/ ( 정효공주 무덤 동벽 내시1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관복 - 겉옷 남자 복식

용해 고분군은 대체로 8세기 후반~9세기 전반 왕실 고분으로 추정된다. 용해 고분군에서 출토된 삼채 인물용은 머리에 복두(幞頭)를 썼고, 겉옷으로 목둘레가 둥근 포[단령(團領)]를 착용하였고, 허리에는 대를 둘렀다.
머리에 착용한 복두는 정수리 위 중간 턱진 부분에 끈 두 개가 올려 묶여있고, 모자 위 볼록한 부분 중간이 살짝 패어 들어갔으며, 뒷부분에 끈이 두 개가 중간에서 한 번 매어지고 늘어뜨려진 형태이다.
단령의 색은 녹색 계열이고, 형태는 깃 모양이 둥글고 깃의 너비가 넓지 않은데 목둘레가 깊이 파이지 않아 목에 바투 닿아 보인다. 단령 깃이 현재 맨더린 칼라( mandarin collar) 처럼 세워진 듯 보인다. 여밈은 오른쪽이다. 소매 길이는 정효공주 무덤 악사나 내시 단령 소매에 비해 짧고 소매 너비도 좁은 편이다. 단령의 길이는 발등을 덮고 땅에 끌릴 정도로 길다. 란(襴)은 표현되지 않았다. 정효공주 묘 인물의 단령은 모두 옆이 트여있었는데, 용해 고분 출토 도용의 단령은 옆트임 여부를 확인하기 어렵다. 정효공주 묘 단령 형태와 비교하면 품이 넓고 옆트임이 없는 단령일 가능성도 있다.
허리에는 대(帶)를 착용하였는데 과판 장식이 없는 가죽띠로 추정되며, 허리보다 많이 내려온 아랫부분에 착용하였고, 앞에서는 대의 일부가 보이지만 뒷면에서는 불룩하게 내려온 옷자락으로 가려져 형태를 확인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김문자(2015), 「한국복식사개론」, 교문사

김민지(2000), 「발해 복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전현실・강순제(2011), 「용해발해 왕실고분 출토 유물에 관한 고찰」, 「복식」 61(10), 한국복식학회

[집필자 : 남경미(南瓊美), 원광대학교]

  • 발해 용해고분군 출토 남자 도용

  • 정효공주 무덤 서벽 악사1

  • 정효공주 무덤 서벽 악사2

  • 정효공주 무덤 서벽 악사3

  • 정효공주 무덤 동벽 내시1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