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화
· 시대 : 삼국시대, 통일신라
· 신분 : 미분류 / 여자
· 출처 : ( 안악3호분 벽화 시중드는 여인 『북한의 문화재와 문화유적』Ⅰ (2011), p.38 )
대분류 | 중분류 | 소분류 | 표제어 | 연관어 |
---|---|---|---|---|
일상복 | 일상복 | 겉옷 | 일상복Ⅰ, 日常服Ⅰ, Lady’s formal attireⅠ |
안악3호분은 1949년에 황해도 안악군 용순면 유순리에서 발견된 고구려 고분으로 기년묵서[357년(고국원왕 27)]가 쓰여 있는 유일한 무덤이다. 벽화는 석회암 판석 위에 그려져 있는데 고분 벽화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는 만큼 벽면과 천장에 가득 그려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신분과 역할에 따른 다양한 옷차림을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실에 주인을 호위하는 위병, 전실 동측 동벽에는 부엌에서 음식을 하고 있는 여인들, 전실 남벽 동쪽 윗 단에 그려진 여러 명의 의장 기수들과 손치기 권법의 일종인 수박하는 모습과 우물가에서 물을 길고 있는 여인들의 모습 등 그 시대 고구려의 생활모습을 잘 보여주고 있다. 벽화 내용은 무악대(舞樂隊)와 장송대(葬送隊)에 둘러싸인 주실 앞에 주인 내외의 초상도(肖像圖)를 모신 혼전(魂殿)과 하인들이 있는 부엌·우사·마구고(馬具庫) 등을 두고 맨 앞은 위병이 지키는 설계이다. 이것은 왕·귀족·대관(大官)들의 생전 주택을 재현시킨 것으로 보인다.
전실 서측벽 남벽에 그려진 화려한 치장을 한 부인의 옆에서 시중을 드는 여성들이 있는데, 크기는 작게 그렸으나. 전체적인 차림새는 묘주 주인과 비슷한 모습이다. 속에 입은 백색 상의는 소매길이가 길어서 손목을 덮는 정도이고, 그 위에는 저고리보다 소매통이 더 넓은 자적색 상의를 덧입고 있다. 이 상의는 허리정도까지 오는 길이로 속에 입은 저고리 하단이 레이스처럼 장식되어 있으며 겉옷 밑으로 나오게 겹쳐 입었다. 하의는 통이 넓은 치마를 입었는데, 허리에 주름을 잡아서 만들었으며, 앞중심에는 다른 색상으로 폭을 덧대어 만들거나, 치마와 다른 옷감을 길게 중심으로 늘어뜨린 것으로 보인다. 머리는 매우 독특한 형태를 하고 있는데 머리를 가능한 정수리 위로 올려 상투를 만들고 둘레에 커다란 환을 형성하여 만든 가체를 이용한 고계(高髻)이다. 가늘고 긴 눈썹이 살짝 위로 올라가게 그렸고, 붉은 입술을 작게 그린 것은 당시의 화장법으로 보인다.
김미자(1997),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본 고구려 복식에 관한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4집, 고구려발해학회.
김연수(2015), 「고구려 고분벽화의 성별분류와 여성 두식 연구」, 『고구려발해연구』 53집, 고구려발해학회.
한성백제박물관(2016),『고구려 고분벽화』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