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가야 김해 양동리 구슬 목걸이

· 시대 : 삼국시대, 통일신라

· 신분 : 미분류 / 남자

· 출처 : ( 김해 대성동 76호분 출토 목걸이, 보물, 가야, 대성동고분박물관, 전체 길이 210.4cm )/ ( 가야김해구슬목걸이 )/ ( 가야김해구슬목걸이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의례복 - 장신구 가야 김해 양동리 구슬 목걸이


김해 대성동 76호 고분 출토 목걸이[頸飾]는 3세기 후반 4세기 초 목곽묘에서 2011년에 출토된 것이다. 발굴 당시 목곽 중앙부에서 크고 작은 수정(水晶)으로 만든 다면옥(多面玉)과 곡옥(曲玉), 마노(瑪瑙)로 만든 다면옥과 환옥, 유리로 만든 곡옥과 구슬이 다수 흩뿌려진 채 출토되어 원래의 형태를 알기 어려운 상태로 출토되었다. 이에 총 2,473점에 달하는 출토 구슬은 수정구슬 10점, 마노 구슬 77점, 각종 유리제 구슬 2,386점 등이며, 그동안 금관가야 유적에서 출토된 목걸이 중 하나의 유적에서 발견된 가장 많은 수량의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희귀한 사례이다. 그 중에서 비교적 크기가 크고 형태가 좋은 곡옥이나 수정 및 마노 등을 중심에 배치하고 나머지 구슬들을 빙 둘러 보관하기 좋게 좌우 대칭적으로 배열하여 꿴 것이다. 이를 통해 금관가야시대에 목걸이를 착장한 사람의 신분적 위상이 높고 지배계층의 위세와 권위를 실증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도 매우 중요한 유물이다. 공예기술적인 면에서 볼 때 목걸이를 제작하는데 사용한 맑고 투명한 수정과 주황색 마노 및 파란색 유리와 같이 다종다양한 재질과 색감이 조화로운 재료를 선택하고 그것을 곡옥이나 다면체로 섬세하게 가공하고 세밀하게 구멍을 뚫어 꿴다거나 표면을 깔끔하게 다듬어 조형적인 완결성을 갖추고 있어 당시 보석을 세공하는 기술적인 성취가 우수했음을 알 수 있다. 이처럼 이 목걸이는 다종다양한 구슬 재료를 정교하게 가공하는 기술과 색상과 질감의 조화시켜 김해지역 금관가야의 복식 문화의 세련된 수준을 대표하는 공예품이라 할 수 있다.

참고문헌

국립김해박물관, 『양동리, 가야를 보다』, 2012 기획특별전도록. 2012.

국립김해박물관, 『김해』 개관 20주년 기념 특별전, 김해: 국립김해박물관, 2018.

대성동고분박물관, 『비밀의 문 다시 두드리다』 대성동고분박물관 재개관 기념도록, 김해: 대성동고분박물관, 2017.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