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양활용

8편.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의 전통문양 활용법
등록일2023-01-13 조회수2121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의 전통문양 활용법
모바일 네이티브 세대의 전통문양 활용법
모바일 세대의 현대판 부적

부적(符籍)은 잡귀를 쫓고 재앙을 물리치기 위해 쓴 글씨나 그림을 몸에 지니거나 집에 붙이는 종이다. “모바일 기기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는 모바일 네이티브(Mobile native) 세대가 전통문양 부적을 항상 소지하게 된다면 어떤 형태가 될까?“ 라는 출발점에서 시작된 현대판 부적 프로젝트 ‘스며든’은 전통문양 산업활용 기반구축 사업의 일환으로 스마트폰 케이스와 이어폰 케이스에 전통문양을 접목한 아이디어를 상품화했다.

상품 색채 계획

상품 색채 계획

상품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장원급제처럼 과거 종이부적에 반영되었던 소원을 ‘수능’, ‘합격’, ‘화합’, ‘애정’ 등의 의미로 현대에 맞추어 키워드를 정하고, ‘옥색’, ‘치자색’과 같이 자연에서 따온 전통 색채를 반영하도록 기획했다.

마패 키링펜던트 디자인

마패 키링펜던트 디자인

꽃, 모란, 원앙 등의 전통문양을 적용한 애화 시리즈 디자인

꽃, 모란, 원앙 등의 전통문양을 적용한 애화 시리즈 디자인

조선시대 장원급제자에게 왕이 하사했던 어사화에서 착안한 ‘어사화 시리즈’는 시험 합격의 소원을 반영한 디자인 상품이다. ‘애화 시리즈’는 부부나 연인간의 애정운을 높이고 화합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은 모란, 원앙, 꽃의 전통문양을 채택한 디자인이다. 마패 키링은 과거시험에 합격한 관료들에게 제공하던 마패에서 착안한 키링펜던트 디자인 상품으로 개발되었다.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1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2

전통문양을 활용한 다양한 제품 라인업

부적을 모티브로 좋은 의미를 기원하는 현대적인 감성의 굿즈를 만드는 이번 기획은 전통문양을 활용하지만 심미성을 살려 세련된 감각을 갖도록 디자인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개발된 디자인은 디자인 특허 및 지식재산권을 출원해 고유성과 희소성을 확보하였다. 또한 이러한 결과로 개발된 8가지 제품군은 팝업스토어, 플리마켓, 인터넷 스토어 등 다양한 판로를 통해 젊은 세대의 호응을 얻으며 판매되었다.

전통문양 적용 모바일 악세사리1 전통문양 적용 모바일 악세사리2

전통문양 적용 모바일 악세사리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는 전통문양

휴대폰은 언제 어디서나 함께하는 현대인의 필수품이다. 개성 있는 휴대폰 케이스, 이어폰 케이스, 그립톡 등이 일상적인 악세사리로 인식되는 상황에서 전통문양의 디자인에 좋은 운을 불러오는 의미를 반영한 상품 개발을 통해 젊은 세대가 전통문양에 관심을 갖고 익숙하게 접하고 의미를 공유하는 기회가 확대될 것이 기대된다.

활용 전통문양

 

자료출처
  • 2021 전통문양 산업활용 기반구축 e-book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