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있는 한식당 손님은 이제 외국인이 더 많아요. 젓가락은 당연히 사용하고, 포크는 달라고 하지도 않습니다. 고기 먹을 때, 김치로 마무리 하는 뒷맛도 잘 알아요. 자연히 김치도 찾고요.”
2021년 초, 해외 한식당을 통해 전해들은 현지 한식, K-푸드 붐에 관한 이야기는 이제 빠른 소식을 접하는 이들만의 전유물이 아니다. 몇 개월 전 한 유튜브에서는 한식 셰프가 미국 TV방송에 출연해 삼겹살에 참기름을 찍어 파무침과 곁들여 먹는 레시피를 소개하자 진행자가 연신 맛보며 놀라움을 감추지 못하는 장면이 화제가 되었다. 미국 요리 잡지 보나베띠에서 소개한 불고기 레시피 역시 호응을 얻으며 실제로 요리에 활용한 경험을 올린 댓글이 많이 실렸다.
[ⓒ Bon appetit]
글로벌 미식 잡지 《셰프 펜슬Chef's Pencil》의 발표에 따르면 인스타그램에서 일본, 이탈리아, 인도 조리법에 이어 4위로 한식이 많은 해시태그를 보유하고 있다(2021 한류백서 ‘음식 한류’,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세계적으로 높아진 한식에 대한 많은 관심이 단적으로 드러나는 예라고 할 수 있다.
출처: 2021 한류백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산업적인 측면에서도 한식의 세계적 확산이 가져온 경제적 성과가 드러나고 있다. 올해 라면 수출은 작년 동기 대비 18% 증가하며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김치의 유럽 수출량 역시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매년 평균 20%씩 증가하고 있다(출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농식품수출정보). 농산물에 있어서도 작년 농수산식품 수출액은 역대 최초로 100억 달러를 넘어섰고, 올해도 순항 중이다. 특히 포도와 딸기의 수출액은 작년 사상 최초로 1억 달러를 돌파했다. 뿐만 아니다. 고추장과 같은 장류와 소스류 수출액도 증가하고 있다. 올해 5월까지 전년대비 14.7% 증가했다.(2021년 농수산식품 수출실적,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2022)
[2021 한류백서, KOFICE]
라면, 만두, 냉동 핫도그와 같은 완제품이 인기를 끄는 것과 함께 고추장, 된장처럼 요리에 사용되는 식재료 자체가 인기가 높은 것은 문화가 전파되고 있다는 증거이다. 콘텐츠를 통해 한식이 알려질 때, 반찬 문화 등 한식 식문화 자체가 신선한 매력으로 느껴지면서 단순한 외식 경험을 넘어 실제 조리를 해보고, 요리에 접목하는 등의 생활로 번지고 있다는 의미다.
해외 한류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한식은 한국을 연상하는 주요 이미지로 꾸준히 상위를 차지하며 대표적인 문화 콘텐츠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해외에서 가장 대중적인 인기가 있는 한국 관련 문화 콘텐츠로 꼽힌다.
한국 연상 이미지 [출처: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자국 내 한국 문화콘텐츠 인기도 [출처: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한식은 해외에서 다양한 한국 문화 콘텐츠의 확산과 맞물려 상승효과를 내고 있다. BTS 멤버가 방문한 한식당은 팬들의 방문으로 문전성시를 이루고, 해외에서 인기를 끈 영화와 드라마에 등장한 치맥, 달고나, 짜파구리는 유행이 된다. 유튜브나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를 통해서도 다양한 한식을 접한다. 주로 한식을 소개하는 유튜브 채널 “영국남자”의 구독자 수는 540만 명을 자랑한다.
《2022 해외 한류 실태조사》에 따르면 한국 문화콘텐츠 중에서 대중적 인기가 가장 높은 분야는 ‘음식’으로 나타났다. 뷰티, 음악, 패션, 영화, 드라마가 그 뒤를 이었다. 음식은 카테고리 특성상 그 자체로도 콘텐츠가 되지만 다른 문화콘텐츠의 인기로 인한 배후효과를 통해 호감이 경험으로 이어지기 쉬운 영역이기도 하다.
K팝 뿐만 아니라 한국의 음식, 패션, 미디어, 예술 등 한국의 모든 것이 세계적으로 유행인 지금, 한류가 뉴스가 아니라 현실이라는 제보가 곳곳에서 들려오고 있는 현재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한식진흥원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 음식의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 ‘풍미가 있는’, ‘건강식의’, ‘채소 위주의’, ‘먹기 편한’ 이미지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2020년 이미지 조사에 ‘매운 맛’에 대한 이미지가 가장 상위에 있던 것과는 다른 양상이다. 감성적 이미지 측면에서는 ‘최근에 유행하는’, ‘색다른, 이색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있다. 특이한 점은 연령대가 낮아질수록 ‘유행하는’, ‘세련된’, ‘고급스러운’ 인식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한식 이미지 [출처: 2021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한식진흥원, 2021]
10대, 20대 디지털 네이티브와 MZ세대는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의 확대 가운데 대중문화를 받아들이는 관점에서 K콘텐츠를 수용하고 있다. 이들은 K팝 아티스트가 세계적 패션 브랜드의 뮤즈가 되고, 한국 화장품과 패션이 트렌드가 되는 것으로 한국의 이미지를 접하기 시작한 세대다. 다양한 한국 상품을 받아들이고 경험하고, 그 경험을 개인 SNS를 통해 표현하는 것에 거리낌이 없다.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 조사》에 따르면 한국 문화 콘텐츠 경험이 한국 상품이나 서비스 구매나 이용에 영향을 준다. 《2021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에 따르면 한 번이라도 한식이나 한식당을 경험한 외국인은 높은 만족도와 추천 의향을 보인다. 이러한 경향은 경험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시사한다. 오프라인에서 한식이나 한식당을 처음 경험하는 진입장벽을 낮추고 문화권별, 국가별로 현지인이 한식을 새롭게 발견할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10년간 눈에 띄게 인식이 달라졌음을 체감합니다. 요새 프랑스에서는 ‘한국과 관련된 콘텐츠는 무조건 통한다.’ 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한식, 그것도 퓨전이 아닌 정통한식에 대한 호감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습니다. 김치나 찌개같이 접근이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했던 품목들도 찾는 사람들이 급속도로 늘고 있습니다.”(프랑스 파리, 한식당 협의체)
“몇 년 사이 K팝 K드라마에 이어 한식의 관심도가 부쩍 늘어난 건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직 중식, 일식 만큼 대중화 되지는 못했습니다. 다른 나라 음식에 오픈 마인드인 유럽인들이라 한번 한식을 경험하면 대부분 만족스러워 합니다. 현지인들이 한식을 맛볼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고 생각해요.” (AMA협회, 2020 한식문화 해외 확산 전략 연구보고서 인터뷰 中)
음식 자체를 소개하고 맛보는 것 이외에도 한국 음식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정서적 배경에 관해 이야기를 전달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미디어 콘텐츠에서 보인 한식이 화제성을 불러일으키고 소비될 수 있었던 것은, 어떤 맥락 안에서 음식이 등장하고 특정 상황에 대한 이해와 공감이 가능했기 때문이다. 일본의 경우 스시용 쌀이 특별한 이유를 지도를 두고 설명하며 높은 가격을 이해시키고, 와규에 대해서도 사육과정의 노력과 사료의 특별함을 잘 디자인해서 보여준다. 한식의 식사법, 음식 철학, 지리적 역사적 배경, 음식을 둘러싼 한국인의 고유한 하지만 세계인에게도 적용 가능한 정서 등을 잘 디자인한 스토리텔링을 통해 음식을 통한 특별한 경험을 만드는 노력이 필요하다.
2022 해외한류 실태조사,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2
2021 해외 한식 소비자 조사, 한식진흥원, 2021
2022 글로벌 한류 트렌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2
2021 한류백서,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 2021
2020 한식문화 확산을 위한 사업추진 방향성 연구,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2020
2021년 농수산식품 수출실적(정책브리핑), 농림축산식품부․해양수산부,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