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각은 쇠뿔을 얇고 투명하게 갈아 종잇장처럼 만든 후 그 뒷면에 용과 모란, 십장생 등의 밑그림을 그려 채색하는 전통 공예다. 반짇고리, 문갑, 예물함, 장롱 등 각종 목공예품에 접목해 그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화각에 반드시 필요한 소뿔을 세심하게 고르는 것부터 갈기, 옻칠, 그림까지 열일곱 번의 공정을 거쳐서 완성되는 화각공예는 아름다운 종합예술과도 같다. 이 분야에서 유일하게 국가중요무형문화재에 지정된 이재만 화각장을 만났다.
화각공예의 맥을 이어온 이재만 화각장은 다양한 전통공예 분야에 몸을 담고 계신 조부와 부모님 아래에서 자연스레 전통문화의 아름다움을 체험하며 성장해왔다. 故음일천 선생님의 제자로 입문한 후 화각만이 가진 독특함과 희귀성에 매료된 그는 50년이 넘는 세월을 화각을 위해 걸어왔다. 화각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유일한 기술이다. 한국만이 지닌 아름다움의 가치를 드높이는 그의 작업에 호기심이 깊어지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어떻게 처음 시작하게 되셨나요?
1966년에 지금은 고인이 되신 음일천 선생의 공방에 입문한 것이 시작이었죠. 하지만 처음부터 화각 공예의 매력에 빠져들었던 것은 아니었어요. 그도 그럴 것이 전통 공예는 집안에서 흔히 보던 것이어서 처음엔 매력을 못 느꼈어요. 할아버지가 단청을 하셨고 아버지는 대목장을, 그리고 어머니가 자수를 놓으셨거든요. 가풍 덕분에 저는 전통이라는 것에 항상 젖어있는 상태나 마찬가지였죠. 당시에는 만화뿐 아니라 스케치, 유화, 민화 등 가릴 것 없이 그저 그리는 것을 좋아했기 때문에 손바닥만 한 화각 위에 그림을 그리는 것은 다소 시시하게 느꼈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점 화각에 매료되었던 건 화각만이 가진 독특함과 희귀성 덕분이었어요. 화각은 전 세계에서 우리나라에만 있는 기술입니다. 전통왕실공예를 위해 처음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전승자도 손에 꼽을 정도니까요. 과정이 수고스럽고 노력에 비해 인식이 부족한 점은 아쉽지만 이 세상에 하나뿐인 기술이라는 것에 대한 자부심은 항상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 부분으로 분업화가 되었다고 들었는데요.
저의 스승인 음진갑 선생님의 호가 일천(一天)입니다. 제가 기억하는 스승님은 현재는 분업되어 여러 분야로 나뉜 전통 공예를 모두 마스터한 유일한 사람이었어요. 일천, 즉 하늘에서 떨어진 단 한 사람이란 뜻이죠. 그만큼 기술이 좋은 분이었습니다. 예전에는 화각장 혼자 모든 작업을 맡아 했습니다. 소목이면 소목, 매듭이면 매듭, 칠이면 칠, 조각이면 조각. 화각에 필요한 모든 공정을 모두 익히고 혼자 만들었죠. 지금은 많은 부분 분업화가 되어 있지만 아직도 화각장이 익혀야할 기술이 많아요. 뿔 고르기부터 갈기, 옻칠, 그림까지 화각 공예에 들어가는 작업 공정만 해도 무려 열일곱 가지에 달하거든요. 화각 공예가 종합예술로 불리는 까닭이 바로 이것 때문이죠.
무려 열일곱 가지에 달하는 공정을 익혀야만 한다. ⓒ디자인밈
적합한 소뿔을 고르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화각 공예를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 바로 뿔을 고르는 것입니다. 일반인들은 소뿔들의 차이를 알 수 없겠지만, 그 선별 기준은 굉장히 까다롭거든요. 우선은 우리나라에서 자란 소뿔만 가능합니다. 소뿔 공급이 줄어들면서 그동안 중국, 일본, 대만, 몽골 심지어 남미나 유럽의 뿔 등 안 써본 뿔이 없어요. 하지만 우리나라 소뿔의 단단함이나 투명성은 어떤 것도 따라올 수 없었어요. 게다가 3년에서 5년 정도 자란 황소 뿔만이 가능합니다. 소가 먹는 것도 뿔의 상태에 영향을 끼치는데요. 합성 사료만 먹여서 자란 뿔은 적합하지 않아요. 요즘에는 건초만 먹고 자란 소를 찾아보기가 힘들지만, 식물성 사료와 건초를 적당히 먹은 소의 뿔이 확실히 투명해요. 그렇게 공들여 고른 소뿔 하나를 갈아서 가공하면 손바닥만 한 얇은 한 장이 나옵니다.
그만큼 그 가치를 알아보는 이들이 많은가요?
사람들은 화각으로 만든 제품을 보았을 때 가장 먼저 “아름답다”는 반응을 보입니다. 하지만 가격을 물어본 후에는 그 탄성이 “너무 비싸다”는 불평으로 바뀌곤 해요. 왜 비싼지에 대해 물어본다면 차라리 괜찮을 텐데, 대부분은 고개만 갸우뚱하고 자리를 뜨는 탓에 화각은 그저 턱없이 비싼 물건으로만 인식되는 현실이 안타까울 뿐입니다. 이미 화각의 가치를 알고 오는 사람들은 절대 비싸다는 소리를 하지 않지만 그게 아닌 경우에는 십중팔구 비싸다는 이야기만 합니다. 홍보가 덜된 탓이지요. 문화재청에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한 것은 분명 고마운 일이지만, 지정한 후에도 장인들의 작품을 홍보하고, 유통 과정에서 조금 더 신경을 써준다면 작품에 더욱 전념할 수 있을 텐데, 하는 아쉬움이 많이 있습니다. 국가무형문화재에 대한 건강관리나 전승에 대해서도 기본적으로 신경 써주었으면 하는 바람도 있고요.
앞으로의 계획이 더 기대됩니다.
우선 현대 기술과의 협업을 통해 공간 속의 미술을 만들고 싶은 마음이 커요. 여러 아이디어가 있는데요, 바야흐로 마니아 시대잖아요. 남들과 다른 무언가를 가지고 싶어 하는 사람이 많습니다. 자동차 내장을 녹색으로 분위기를 통일한다면 어떨까요? 숲 속에 앉아있는 느낌, 자연 속에서 움직이는 느낌이 들겠지요. 마이카 시대에 분명 반응이 있을 겁니다. 이런 공간 구성에 있어 화각이라는 개념에 얽매이지 않아도 좋을 것 같아요. 예산상의 문제도 무시할 수 없으니 포인트가 되는 부분에만 과감히 화각을 적용하더라도 그 느낌을 충분히 살릴 수 있지 않을까요? 또 다른 예로, 엘리베이터에 화각이 적용된다면 일상 속에서 반복되는 단순한 이동 수단이 아니라 힐링의 공간이 될 수 있다고도 생각합니다. 현대적인 공간에 화각이 어우러진 모습을 보는 것이 궁극적인 저의 소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