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화
화관
화관은 조선시대 여성의 예복용 관모로, 영⋅정조대 이후 가체의 대용으로 족두리와 함께 사용되면서 일반화되었다. 왕실에서는 주로 소례복인 당의에 착용하였고, 민간에서는 혼례 시 활옷을 입고 착용하는 경우가 많았다. 검은 종이나 비단을 배접하여 관의 형태를 만들고 금박지로 각종 문양을 오려 붙였으며, 정수리의 둥근 부분에는 남자의 양관처럼 세로 선을 장식하기도 하였다. 옥판과 진주⋅산호⋅밀화⋅석웅황 등의 각종 보석, 오색 술 장식 등을 달아 화려하게 꾸몄으며, 양 옆에 비녀를 꽂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강순제 외(2015), 『한국복식사전』, 민속원.
경운박물관 편(2003), 『근세복식과 우리문화』.
국립민속박물관 편(2017), 『한국의식주생활사전 의생활』.
석주선(1993), 『冠帽와 首飾』,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이화여자대학교 담인복식미술관 편(2015), 『조선시대 예복과 장신구』
[집필자 : 오선희(吳宣希), 수원대학교]
[키워드 : 화관, 花冠, Woman’s ceremonial coronet]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