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한복

일상예복, 日常禮服

· 시대 : 삼국시대, 통일신라

· 신분 : 일반 / 여자

· 출처 : ( 황성동 출토 토용 여자 복식 앞 )/ ( 황성동 출토 토용 여자 복식 뒤 )/ ( 황성동 출토 토용 여자 복식 )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정보를 제공하는 표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표제어 연관어
일상복 일상예복 겉옷 일상예복

황성동 고분은 통일신라 7세기 후반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고, 정확한 매장 상황은 알 수 없으나 다양한 토용, 토기류, 기와 조각, 돌로 만들어진 물품 등이 수습되었다. 토용 가운데 여성상이 1점이 있었고, 높이는 16.5cm이다.
황성동 출토 여성 토용의 머리는 이마 위로 붕긋하게 솟은 풍성한 쪽머리처럼 보이고 겉옷으로 긴 포(袍)를 착용하였다.
머리 앞 중심에서 가르마를 탔는데 정수리 뒤까지 넘어간 가르마 선이 보인다. 머리 뒤에서 머리카락을 모아 둥글게 말아서 고정하였는데, 조선시대 쪽머리처럼 머리를 땋은 것 같이 묘사되지는 않았다. 정수리 부분과 가르마 양쪽 옆 부분도 맨머리에 가르마 한 형태에 비하면 매우 높이 올라간 모양이다. 머리 위로 머리카락을 모아 올 린 다음 뒤로 넘겨 정리한 것은 아닐까 추정해볼 수 있다.
겉에 착용한 외투[포(袍)]는 소매통이 좁고 길이가 길어 소매에 주름이 많이 표현되어있고, 손이 드러나지 않을 정도이다. 오른손에는 무엇인가 들고 있는 것 같다. 앞 중심에 옷의 자락이 표현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목둘레는 둥근 것으로, 여밈은 오른쪽으로 추정된다. 왼손으로 앞중심과 목둘레를 가리고 있어 정확한 형태를 파악하기 어렵다. 허리선 살짝 위로 허리띠를 둘렀다. 겉옷의 길이가 매우 길어 발끝만 살짝 나와 있고, 옷자락이 넓지는 않으며 양쪽 옆선이 트여있다.
겉옷 안에는 하의로 치마를 입은 것으로 보이는데 자세한 형태는 알 수 없으나 고구려 치마와 같은 주름은 표현되지 않았다.
겉옷에 가려 속에 착용한 다른 복식과 신은 확인하기 어렵다.  

참고문헌

구인숙(1989), 「경주황성동고분출토 토용의 복식사적 의미」, 「복식」 13, 한국복식학회.

권준희(2001), 「신라 복식의 변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집필자 : 남경미(南瓊美), 원광대학교]

  • 황성동 출토 토용 여자 복식 앞

  • 황성동 출토 토용 여자 복식 뒤

  • 황성동 출토 토용 여자 복식

연관이미지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