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도별 문화인물

겸재 정선 (謙齋 鄭敾)
1676~1759 / 조선 후기의 화가
생애 및 업적
  •  겸재(謙齋) 정선(鄭敾)은 우리나라 회화사에서 가장 위대한 업적을 남긴 대화가로 화성(畵聖)의 칭호를 올려야 마땅한 인물이다. 겸재는 우리 산천(山川)의 아름다움을 사생(寫生)하는데 가장 알맞은 우리 고유 화법(畵法)을 창안해 내어 우리 산천을 소재로 그 회화미를 발현(發現)해 내는데 성공한 진경산수화(眞景山水畵)의 대성자(大成者)이기 때문이다. 중국의 작품을 모방하던 종래의 화풍에서 벗어나 전국의 명승고적을 두루 여행하며 창의적인 구도와 특징 있는 필치로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즉 그는 우리 고유 산수화 양식인 진경산수화풍(眞景山水畵風)의 시조인 것이다. 겸재는 숙종 2년(1676) 병진(丙辰) 1월 3일에 한성부(漢城府) 북부(北部) 순화방(順化坊) 유란동(幽蘭洞)에서 탄생한다. 그의 자(字)는 원백(元伯) 초년 호(號)는 난곡(蘭谷)이니 유란동(幽蘭洞) 난곡(蘭谷)에서 태어나 산다는 의미일 것이다. 겸재(謙齋)라는 호는 30대 이후에 쓰던 것으로 주역에 능통한 그가 『주역』(周易) 권6 겸괘(謙卦)의 「겸손은 형통하니 君子가 끝이 있으리라」(謙亨君子有終)는 괘사(卦辭)에서 취해서 스스로 겸손하기를 다짐하는 의미로 택한 것일 듯하다.


     약관에 김창집(金昌集)의 천거로 도화서의 화원(畵員)이 되고 그 뒤 현감을 지냈다. 처음에는 중국 남화(南畵)에서 출발하였으나 30세를 전후하여 조선 산수화(山水畵)의 독자적 특징을 살린 사생(寫生)의 진경화(眞景畵)로 전환하였으며 여행을 즐겨 전국의 명승을 찾아다니면서 그림을 그렸다. 그는 심사정, 조영석과 함께 삼재(三齋)로 불리었다. 강한 농담(濃淡)의 대조 위에 청색을 주조로 하여 암벽의 면과 질감을 나타낸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으나 후계자가 없어 그의 화풍은 단절되었다. 문재(文才)가 없었으므로 다만 서명과 한두 개의 낙관만이 화폭의 구석에 있을 뿐 화제(畵題)가 없다. 대표작품으로는 <금강전도>, <입암도>, <인왕제색도>, <만폭동도> 등이 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