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한복
선정취지 및 필요성
  •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한복의 아름다움이 전 세계인들을 매료시키고 있다. 그런데 정작 한복의 아름다움은 옷의 선에서 주어진다. 즉, 한복의 선은 한복을 한복답게 해주는 매우 강력한 수단이자 옷의 요체이기도 하다. 그러한 점에서 한복의 선은 한복 그 자체를 뛰어넘는 우리문화상징으로 간주할만하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우리 옷인 한복은 직선과 곡선이 서로 반전하면서 유연한 선의 흐름을 엮어낸다. 한복에는 여유가 있어 언제나 넉넉하고 푸짐하다. 넉넉한 흐름은 곡선으로 나타난다. 포용성 있는 여성의 한복선은 삼각형 A라인이다. 삼각 형태는 동양에서 천지인(天地人)의 완전한 조화를 상징한다. 치마저고리의 선은 움직일 때마다 잔잔한 물에 퍼져나가는 물결처럼 운치가 풍겨 나온다. 흔히 우리옷의 아름다움을 원색 대비에 있는 줄 생각하나 사실은 그렇지 않다. 선조들이 남긴 유물을 살펴보면, 원색은 원색 데로 썼지만, 명도와 채도를 낮춘 차분한 중간색들을 즐겨 썼다. 모두 무게가 있고 세련된 색깔이었다. 현대의 한복같이 번쩍거리고 번잡한 색깔을 피하였다. 이러한 세련된 색은 고분벽화와 도자기에서 잘 나타난다. 고구려와 신라, 그리고 고려의 고분벽화는 무게 있는 원색의 아름다움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고쳐 청자나 조선백자는 짙푸른 색이면서 푸른색이 아니고, 흰색이면서 흰색이 아닌 착 가라앉은 세련된 색감을 지녔다. 이러한 감각이 옷에도 그대로 반영되었다. 한복입음새의 원칙은 윗도리는 박히고 아랫도리는 후한 것이다. 저고리는 짧게 간단하게, 치마는 길고 폭을 넉넉히 했다. 여기에 고름을 많이 늘여 멋을 더했다. 길게 나부끼는 옷고름 선은 불균형 속에서 균형을 잡는 역할을 했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옷의 선을 강조하는 것은 다른 나라의 의상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한복은 애당초 선을 의도하면서 창조되었다 고할 정도로 운치와 멋을 한복의 선에 담고 있다. 따라서 이같이 아름다운 선을 간직한 의상은 전례 없는 것으로 인정된다.
기대효과
  • 한복을 새롭게 만들어 입고 보급하는 운동도 늘어나고는 있지만 막상 선조들이 성취해낸 그러한 미학적 수준의 한복의 선은 상실해가고 있다. 그러한 조건에서 한복의 요체를 다시 인식하게 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한복의 선이 사라지고 있음은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가령 백자달항아리의 색깔과 모양새를 재현하고는 있지만 융숭하고 넉넉하면서도 차분한 원형은 재현되지 못하고 있다. 한복은 다양한 형식으로 변형되고 화려한 치장으로 발전하고 옷감의 질도 나날이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정작 한복의 핵심이자 한복의 미를 표현하는 요체라 할 수 있는 한복의 선은 거의 사라지거나 변형되어 미감을 상실하고 있는 중이다. 단순하게 한복디자인의 중심잡기라는 차원에서 벗어나 의상교육차원에서, 더 나아가 한복의 문화산업화와 세계화란 관점에서, 동시에 문화유산의 유구한 맥을 이어나간다는 차원에서 한복의 선은 중대한 의의를 지닌다. 한복의 선이 사라지면 한복을 바탕으로 발전하였던 고유의 예술도 사라질 것이다. 옥비녀를 머리에 찌고 고운 모시옷을 입고서 날아갈 듯이 춤을 추는 여인의 자태는 한복의 선이 받쳐주지 아니하면 제 멋이 나질 않는다. 숙련된 춤동작은 풍성한 치마폭에서 우러나오는 곡선의 미학, 저고리 배래와 도련의 둥근 선, 고무신코의 도드라진 곡선들과 자연스럽게 어우러져 깊이 있는 아름다움을 만들어낸다. 즉 한국의 춤은 우리옷의 신비감을 동시에 표현해낸다. 이처럼 한복의 선은 예술분야에까지 그 효능을 미친다.
참고자료
  • 최성자,『한국의 미 -선·색·형』, 지식산업사, 1993 <주강현>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