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춘향전
선정취지 및 필요성
  • <춘향전>은 현재까지도 우리나라의 대표적 문학작품이라 할 정도로 우리나라의 진정한 고전이다. 또한 세계인들도 이러한 우리나라 문학에서의 <춘향전>의 위상을 알고 있다. 그러므로 대내외적으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학인 <춘향전>이 우리나라의 문화 상징들 중의 하나가 되는 것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춘향전>의 이본들은 오늘날까지 알려진 것만 해도 120여종이나 된다. 이 중 시기적으로 가장 앞선 것은 <만화본 춘향가>(1754)다. 이 작품은 충청도의 선비였던 만화(晩華) 류진한(柳振漢)이 전라도 지역에서 광대의 판소리를 듣고 200구의 한시(漢詩)로 지은 것이다. 이 작품은 판소리에 관한 가장 오래된 자료인 동시에 <춘향전>에 대한 가장 오래된 작품이다. 그 다음으로 한글로 된 가장 오랜 작품은 <별춘향전>(1846)이다. 이후 1870년 무렵에 이루어진 신재효(申在孝)의 <춘향가>, 그 이후로 여겨지는 <열녀춘향수절가> 등이 춘향전 계통의 대표적 작품들이라 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시대별에 따른 <춘향전>의 내용을 보면, 춘향의 신분변화에 따른 <춘향전> 주제의 변모양상을 볼 수 있다. 이른 시기의 작품들인 <만화본 춘향가><별춘향전>에는 춘향의 신분이 기생으로 나와서 그 주제가 변학도와 같은 부정적 지배자에 대한 항거를 통한 인간 해방 선언이라면, 후대의 작품들인 신재효의 <춘향가>, <열녀춘향수절가> 등에는 각기 춘향이 성천총(成千摠)의 서녀, 남원부사를 한 성참판의 서녀로 모두가 대비속신(代婢贖身)하여 기적(妓籍)에서 이름을 뺀 평민 여자가 되어 그 주제가 열녀 지향으로 나오는 것이다. 이것은 판소리 춘향가를 양반과 같은 상층의 사람들도 향유하게 되는 과정에서의 변모라 할 수 있다. 지배층의 입장으로서는 기생 신분의 춘향이 관장인 변학도의 수청요구를 거부한다는 것은 당시의 관기(官妓)제도로 보아서는 사실상 불가능한 일이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춘향전>의 주제는 전통사회에서 기생이었던 춘향의 인간해방선언에서 평민 여자였던 춘향의 열녀지향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오늘날 신분제도도 없어졌고, 열녀지향과 같은 유교적 의식도 많이 사라진 가운데서 <춘향전>의 주제는 이도령과의 약속을 지키는 사랑의 성취란 것으로 그 주제가 다시 바뀌게 된다. 이렇듯 <춘향전>이 사실상 그 내용이 시대에 따라 바뀌게 되면서도 여전히 우리나라의 대표적 고전으로 여겨지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그것은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이유 때문이 아닐까 한다. 첫째, 청춘남녀의 사랑을 다루었다는 것이다. 청춘남녀의 사랑이야기는 시대와 공간을 떠나서 가장 일반적으로 다루어지는 문학소재의 하나다. 둘째, 작품 구조의 특수성이다. <춘향전>은 ‘신분이 높은 이도령과 신분이 낮은 춘향의 사랑: 불완전한 사랑 - 이도령과의 이별: 1차 고난 - 변학도와의 만남: 2차 고난 - 암행어사 출두: 고난 1,2의 동시해결 - 완전한 사랑’이란 완전한 사랑을 성취하는 과정에 있어서의 고난들과 그 고난들의 동시해결이란 다른 작품들에서는 쉽게 찾아볼 수 없는 극적 구조를 지녔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춘향전>이 성립된 지 수백 년이 넘었지만 이 작품은 여전히 우리들에게 감동을 주는 우리의 대표적 고전이 되어 있는 것이다. 이 작품은 아직까지도 우리민족에게 가장 잘된 ‘사랑 이야기’로 되어 있는 것이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청춘남녀의 사랑을 다룬 문학은 세계 어느 나라에나 있다. 인도의 칼리다사의 <샤쿤틸랴>, 영국의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 중국의 왕실보(王實甫)의 <서상기>(西廂記), 일본의 지까마쓰 몬자에몬(近松門左衛門)의 <소네자키신주>(曾根崎心中) 등이 모두 그러한 것들로, 이들은 모두 또한 각기 그 나라의 대표적인 고전들이 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춘향전>도 이들이 비견될 수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 청춘남녀의 사랑이야기다.
기대효과
  • 우리나라 사람들 대부분이 우리나라의 대표적 고전작품으로 공감하는 <춘향전>이 우리나라의 문화 상징의 하나가 됨으로써, 기존에 <춘향전>을 통해 공유했던 우리민족의 문화적 동질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외국인들도 상당히 <춘향전>을 잘 알고 있기에, 이러한 <춘향전>이 들어있는 우리나라 문화상징들에 대한 이해를 보다 쉽게 할 수 있을 것이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춘향전>과 관계되는 여러 가지 내용들이 캐릭터로든, 의상으로든, 한국어 익히기 대본으로든 여러 가지 방식들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참고자료
  • 이은희, '춘향가의 역사적 변모와 그 의미', 이화여대 석사논문, 1984 설성경, '춘향전의 통시적 연구', 서광 학술자료사, 1994 <손태도>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