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대금
선정취지 및 필요성
  • 대금은 한국의 대표적인 관악기로서 문묘제례악과 대취타를 제외한 대부분의 전통음악에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럼에도 서양음악 및 대중음악의 조류에 밀려 전통음악 가운데 대금이란 악기는 여전히 몇몇 애호가들의 관심 속에만 살아있다. 대금의 존재와 특징적인 음색, 대금이 연주하는 음악만으로도 한국음악의 아름다움을 충분히 느낄 수가 있다. 대금은 삼국시대 삼죽(三竹)이라 하여 중금(中), 소금(小)과 함께 신라에서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누가 언제 만든 것인지에 대하여는 잘 알 수 없다. 조선시대의 <악학궤범>에는 일지, 이지, 삼지, 횡지, 우조, 팔조, 막조라 하여 대금의 제도와 지법과 함께 조율법을 소개하고 있는데, 대금은 지금도 음역이 넓고 고정된 음고를 지니고 있어 합주음악에서 조율의 표준이 되고 있다. 아울러 음량이 풍부하고 비교적 넓은 취공을 입술로 조절하며 음높이를 조절할 수 있어 국악기 중 대표적인 독주악기로도 자주 쓰인다. 대금의 특수한 점은 바로 취공(吹孔) 바로 아래에 있는 청공(淸孔)의 존재일 것이다. 청공은 갈대 속청을 붙여 만든 구멍으로서, 특히 높은 음역에서 매우 독특한 음색을 만들어내게 된다. 동양의 많은 횡적류 악기 중 대금처럼 청공의 소리를 뚜렷하게 살려내는 악기도 드물다. 대금의 거칠면서도 맑고 청아한 청공의 음색은 조각과 건축, 회화 등 다른 전통예술분야에 두루 나타나는 한국전통의 미감과 맞닿아 있다. 현대의 음악은 전자음향화 해가는 추세이며, 이미 대부분의 전통악기들도 서양음악의 평균율에 맞추어져 자연미가 살아있는 음악을 접하는 일도 점점 어려워져 가고 있다. 대금 자체가 가지고 있는 자연적 속성과 맑고 생명력 있는 음색은 현대사회에 매우 신선한 자극으로 다가올 것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대금과 같이 대[竹]로 만들어졌으며 가로 부는 적(笛)류는 서역에서 중국으로 이어지는 실크로드의 여러 지역에 나타나고 있으며, 일본에도 대금과 유사한 악기들이 연주되고 있어 이들 사이 역사적인 연관성도 추측되고 있다. 그러나 음색으로 치자면, 중국의 적에도 대금과 같이 청공이 있으나 대금과 같이 거친 음색을 내는 쪽으로 발달해 있지는 않다. 대금은 악기발달상 관악기류에 나타나는 보편성과 함께 특수성을 지닌 악기로 평가받아야 한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기대효과
  • 기계음과 소음으로 가득 찬 도심에서 대금은 맑은 공기와 대숲의 바람소리를 연상하게 하여 친환경적인 분위기와 정신적 여유로움을 선사해 줄 것이다. 대금은 요즘의 웰빙 문화에 쉽게 적용될 수 있는 많은 소지를 갖고 있다. 또한 실제 대금이 내는 수많은 연주 기법들(떠는 소리, 꺾어내는 소리, 흘러내리는 소리, 밀어 올리는 소리 등)에서 나오는 심미적 표현들은 외국인들에게 강한 인상을 느끼게 하는 데 충분하며, 한국적인 정서를 심어주는 데에도 한몫을 할 것이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대금은 우선 악기자체를 이용한 다양한 캐릭터상품을 개발할 수 있다. 휴대하기 간편한 점이나 한국전통의 악기를 대표한다는 점에서 미니어처로 만들어 상업적으로 활용하는 방법도 찾을 수 있겠다. 무엇보다 대금은 소리를 자체를 모티브로 하여 다양한 공간에서 한국적인 여유와 아름다움을 선사해 줄 수 있는 방안을 찾는 일이 필요하다. 공공기관의 특정한 사인을 담당하는 소리를 비롯하여 명상이나 휴식이 필요한 장소에서 대금소리와 같은 전통적인 음향을 개발하여 한국적인 공간감각을 느끼게 하는 일은 외국인들에게도 신선한 인상을 심어줄 것이다.
참고자료
  • 장사훈, 『한국악기대관』(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86). 이혜구, 『신역악학궤범』(서울: 국립국악원, 2000). 김효근, “대금 ‘청’의 효과에 대한 음향학적 연구”,『한국악기학』2호(서울: 한국퉁소연구회, 2004) <김인숙>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