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문화상징

세종대왕
선정취지 및 필요성
  • 한글창제, 측우기개발, 농사편찬 등 찬란한 문화를 이끌었던 조선시대의 국왕으로, 현재 한국인이 가장 존경하는 역사상 인물 중 하나이다. 유네스코에서는 이미 몇 해 전부터 ‘세종상’을 제정, 문맹퇴치에 공이 큰 사람에게 시상을 하고 있다. 세종대왕의 이름을 딴 세종상은 바로 한글과 한국의 자랑이며 한민족의 영예이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조선왕조의 제4대 임금으로 1397년(태조 6)에 태어나 1450년에 승하하였다. 이름은 도, 자는 원정(元正)이다. 태종의 셋째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경왕후 민씨(元敬王后閔氏)이고, 비는 심온(沈溫)의 딸 소헌왕후(昭憲王后)이다. 1408년(태종8) 충녕군(忠寧君)에 봉해지고, 1412년 충녕대군으로 진봉(進封)되었다. 1418년 6월 왕세자에 책봉되었다가 같은 해 8월에 태종의 양위를 받아 즉위하였다. 원래 태종의 뒤를 이을 왕세자는 큰 형인 양녕대군(讓寧大君)이었으나, 양녕대군이 세자에서 폐위됨으로써 충녕대군이 왕세자가 된 것이다. 세종이 재위하던 15세기 전반기는 우리민족의 역사에 있어서 가장 훌륭한 유교정치, 찬란한 문화가 이룩된 시대였으며, 정치적으로 안정되어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적인 기틀을 잡은 시기였다. 즉, 집현전(集賢殿)을 통하여 많은 인재가 배양되었고, 유교정치의 기반이 되는 의례와 제도가 정비되었으며, 다양하고 방대한 편찬사업이 이루어졌다. 또, 훈민정음(訓民正音)의 창제, 농업과 과학기술의 발전, 의약기술과 음악 및 법제의 정리, 공법(貢法)의 제정, 국토의 확장[즉, 북방의 4군 6진 개척] 등 수많은 사업을 통하여 민족국가의 기틀을 확고히 하였다. 특히 훈민정음창제는 세종이 남긴 문화유산 가운데 가장 빛나는 것일 뿐 아니라 우리민족의 문화유산 중에서도 가장 훌륭한 것임에 틀림없다. 세종은 집현전을 통하여 길러낸 박팽년(朴彭年),최항(崔恒),신숙주(申叔舟),성삼문(成三問),이선로(李善老),이개(李塏) 등 소장학자들의 협력을 받아 우리민족의 문자를 창제하였던 것이니, 이 시대의 문화의식과 그 수준이 어떠하였는가를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국토의 개척과 확장도 빼놓을 수 없는 세종의 업적이다. 두만강 방면에는 김종서(金宗瑞)를 보내서 6진(鎭)을 개척하게 하였고, 압록강 방면에는 4군(郡)을 설치하여 두만강과 압록강 이남을 영토로 편입하는 대업을 이루었던 것이다. 동쪽의 일본에 대하여는 강경책과 회유책을 함께 썼다. 세종 1년에는 이종무(李從茂) 등에게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정벌하게 하는 강경책을 쓰기도 하였으나, 세종8년에 삼포(三浦)를 개항하고, 세종25년에는 ‘계해약조(癸亥約條)’를 맺어 이들을 회유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사업을 이룰 수 있었던 것은 세종이 문치만을 힘쓰지 않고 군사훈련, 화기의 제조·개발, 성진(城鎭)의 수축, 병선의 개량, 병서의 간행 등 국방 책에도 힘을 기울인 결과인 것이다. 슬하에 18남 4녀를 두었는데, 제1자가 문종, 제2자가 세조이다. 시호는 장헌(莊憲), 능호는 영릉(英陵)이며 경기도 여주군 능서면에 있다. 세종대왕은 우리역사에서 뿐 아니라, 세계인류역사에서도 드물게 보는 위인이다. 천성이 어질고 부지런하였으며, 학문을 좋아하고 취미와 재능이 여러 방면에 통하지 않음이 없었다. 서화에도 뛰어났다. 정사를 보살피면서 독서와 사색에 머리 쓰기를 쉬지 않았으며, 의지가 굳어서 옳다고 생각한 일은 어떠한 반대가 있더라도 기어코 실행하였다. 널리 국민을 사랑하고, 국민의 어려운 생활에 깊은 관심을 가져, 국민을 본위로 한 왕도정치를 베풀었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 각 나라마다 역사상 뛰어난 업적을 남겼던 임금을 상징화하고 존경하는 사례는 너무 다대하여 일일이 거론할 수 없을 정도이다. 그렇지만 세종대왕만큼 한 나라의 문화 창조 및 형성에 지대한 업적을 남긴 임금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고 본다.
기대효과
  •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한 세종대왕을 문화 상징화함으로써 우리민족의 긍지를 높이는 데 기여할 것이다. 특히 세종대왕 때 이루어진 다양한 업적은 전 세계적으로도 매우 드문 일에 속한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세종대왕은 그 업적이 방대하기에 다양한 문화산업 및 콘텐츠개발이 가능할 것이다. 이미 우리는 현재 통용되는 최고가의 지폐에 그의 이미지를 활용하고 있다. 한편 이에는 ‘세종대왕기념사업회’처럼 세종대왕을 기념, 연구하는 기관의 자문 및 연계가 필요하다.
참고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박영규, 『한권으로 읽는 조선왕조실록』, 웅진닷컴, 2004 홍이섭, 『세종대왕』, 세종대왕 기념 사업회, 2004 <임학성>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