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사전

여자 저고리

저고리는 남녀노소 누구나 하의 위에 입는 가장 기본이 되는 짧은 상의(上衣)이다. 한자어로는 ‘赤古里’로 표기된다. 조선시대 기록에서 처음 확인되지만 착용한 역사는 우리 민족의 역사와 함께 한다.
남녀의 저고리 구조는 기본적으로 유사하다. 좌우의 등솔기로 연결되는 길 2장과 좌우 소매, 앞길 중심선에 달리는 좌우의 크고 작은 섶 하나씩, 그리고 겉깃과 고대, 안깃으로 이어지는 긴 길이의 깃 한 장으로 구성된다. 옷에 따라서는 겨드랑이에 무가 달리기도 하고 겨드랑이를 장식하는 곁막이가 달리기도 한다. 좌우 앞길의 섶과 몸판에 고름을 달아 왼쪽 섶이 오른쪽 섶을 덮는 우임(右衽) 방식으로 여며 입는다.
여자저고리는 시대에 따라 길이와 품의 정도에 변화가 있었다. 조선 전기의 여자저고리는 길이가 길고 누구나 입을 수 있을 정도로 넓고 풍성한 크기였으나 조선 후기로 갈수록 길이가 짧아졌고 품이 좁아져서 몸에 밀착되는 형태로 변화된 것이 특징이다. 재질은 무늬 있는 비단 등 좋은 옷감을 사용하였으며 깃이나 곁마기, 끝동, 고름 등에 이색 장식을 한 저고리가 성행하였다.
16세기 저고리는 큼직한 크기에 길이도 50~80㎝에 이르는 긴 길이였으며 넓은 목판깃에 짧고 좁은 고름이 달렸다. 특히 긴 저고리는 겨드랑이 아래로 긴 트임이 있었다. 짧은 저고리는 깃, 끝동, 겨드랑이[腋間] 부분을 금사를 넣어 짠 비단인 금선(金線)으로 장식한 것도 있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친 이후에도 긴 저고리와 짧은 저고리가 공존하였다. 그러나 이전 시대보다 품이 좁아지고 짧아지면서 점차 곡선화 되었다.
17세기의 저고리는 신체에 좀 더 맞는 형태로 변화하였으며 깃이 목판당코깃 형으로 변화되었다. 18세기 저고리는 치마허리가 드러날 정도로 짧아지고 소매통도 좁아지면서 몸에 밀착되는 특징을 보인다. 『성호사설(星湖僿說)』이나 『청장관전서(靑莊館全書)』에서는 여자 저고리의 소매가 좁아지고 길이가 짧아진 것을 개탄하였다. 특히 이덕무(李德懋)는 “창기(娼妓)들이 아양 떠는 자태를 보고 남자들이 처첩에게 권하여 전해진 것”이라고 하여 부인들의 저고리가 기생의 옷에서 유래한 것임을 알려준다.
19세기 이후 20세기 초까지는 역사상 가장 짧은 저고리가 유행했으며 개화기 이후 선교사들이 여학생의 교복 개량을 주도하면서 저고리가 다시 길어졌다. 1930~40년대에는 저고리 길이가 거의 허리에 가깝게 내려왔으며 고름 대신 브로치가 유행했다.
평소에는 속저고리와 저고리를 입었으며 예를 갖추어야 할 때는 그 위에 예복용 겉저고리를 덧입어서 성장(盛裝)을 했다. 세 벌의 저고리를 겹쳐 입는 것을 ‘저고리 3칭(稱)’이라고 하였다. 제일 먼저 분홍색이나 보라색 저고리를 속저고리로 입고 그 위에 일상적인 저고리를 입는데 회장을 장식하기도 하였다. 젊은 사람은 대체로 송화색 저고리를 즐겨 입었으며 나이가 든 부인은 흔히 옥색 저고리를 입었다. 예복용 저고리에는 견마기[肩莫只·絹莫只]와 당의(唐衣)가 있는데 초록색이 대부분이며 고급 옷감으로 만들었다. 당의는 길이가 길고 옆선이 모두 트였으며, 견마기는 당의보다 짧지만 저고리보다는 길다. 견마기는 회장저고리와 유사한 특징을 지니지만 거들지를 단 점이 다르다.
아이들도 성인의 저고리와 같은 형태의 저고리를 입었다. 별다른 장식이 없는 민저고리도 입지만 대체로 성인의 저고리보다 다채로운 색상을 입었다. 또한 유아기까지는 긴 고름을 아주 길게 만들어서 가슴을 한 번 둘러주는 돌띠 고름을 달았다. 명절에는 색동 소매를 달거나 회장(回粧) 장식을 하거나 수(繡)를 놓아 엄마의 정성이 담긴 저고리를 입혔다.
 
참고 문헌
박성실(1992), 「조선전기 출토복식의 연구-임진왜란 이전시기를 중심으로-」, 세종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박성실(1996), 「回粧赤古里와 肩亇只 再考」, 『국당손경자교수정년기념논총』.
황유선(1999), 「조선시대 저고리類 명칭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박성실(2003), 「16세기 출토 여복(女服)의 복식사적 고찰」, 『坡平尹氏 母子 미라 종합 연구 논문집 2』, 고려대학교 박물관.
박성실 외(2005), 『조선시대 여인의 멋과 차림새』, 단국대학교 출판부.
박성실(2006), 「출토복식을 통해보는 임진왜란 이전 남녀복식의 조형적 특징」, 『韓國服飾』第24號,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집필자 : 이명은(李明恩), 단국대학교 석주선기념박물관]
[제공 : 김인자(중요무형문화재 제89호 침선장 이수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