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복보기

공주 노의

노의는 조선초기에 왕비 및 정4품 이상의 정처가 입던 예복으로 고려시대에도 존귀한 자의 복식으로 인식되던 옷이다. 부인이 길을 갈 때 입는 옷, 즉 외출예복으로 왕실에서는 국말에 이르기까지 왕비를 비롯하여 세자빈, 숙의, 공주, 옹주 등이 혼례에 착용하였다.
『(인조장열왕후)가례도감의궤』에 제시된 노의의 외형은 적의와 마찬가지로 앞이 짧고 뒤가 길다. 또한 금원문 315개를 부금한다고 하여 날개를 펼친 1쌍의 새가 위 아래로 마주 놓인 금원문을 제시하고 있다. 노의로 추정되는 기성군부인 평양이씨(1502~1579년) 묘 출토물은 조선전기의 원삼처럼 남자 단령의 특징을 띠며 금원문 장화단으로 361개의 단봉을 직금한 옷감을 사용했다. 조선후기 청연군주(1754~1821년) 묘 출토 노의는 원앙 1쌍이 마주보는 금원문 215개가 부금 되어있으며 동시대의 원삼과 동일한 외형적 특징을 지녔다. 원삼과 같은 대금형의 배자 깃, 넓은 소매에 색동과 한삼을 달았고, 당의와 같은 곡선을 이루며 양 옆은 트였고, 몸판 전체에 금원문 215개가 찍혀있다.
노의를 입을 때는 왕비나 세자빈이 남색 경의(景衣)를 갖추고, 공주는 남광사 전면사(前面紗)를 썼다. 내외용 쓰개인 경의가 장옷류인지, 쓰개치마류인지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알 수 없으나 명의(明衣)처럼 길을 갈 때 먼지를 막아 옷을 깨끗하게 하려는 용도였다는 것으로 보면 장옷과 같은 종류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한편 공주는 면사의 한 종류로 추정되는 전면사를 썼다.
 
참고문헌
경기도박물관(2014), 『조선 왕실 선성군 母子의 특별한 외출』, 민속원.
김소현(2017), 『조선왕실 여인들의 복식』, 민속원.
송미경(2016), 「기성군부인 평양이씨(1502~1579)묘 출토복식 연구」, 『한복문화』 19(4), 한복문화학회.
이성희, 「조선후기 노의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집필자 : 김소현(金素賢), 배화여자대학교]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