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양의 의미
우리나라의 고유한 전통 양식으로 지은 근대 이전의 건축물로 옛집에 부착된 편액, 주련, 시문판 등의 한자기록물에서 볼 수 있듯이 주거의 공간이었을 뿐만 아니라 옛집의 내력과 지역 기반의 문화, 인간의 도덕적 품격과 정신세계 등 복합적 이야기를 담은 문화공간으로 한국의 인문정신이며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문양은 미적 감각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점이나 선, 색채를 도형과 같이 형상화한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문양은 각자의 삶을 통해 발현되는 창조적 산물이며, 언어나 문자와 마찬가지로 사용 주체인 민족과 그 민족이 처한 역사적 배경에 따라 고유한 형태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유물의 재료 차이에 따른 점이나 선 등의 질감에서부터 공예·회화·건축 등의 공간을 구성하는 요소에 이르기까지, 문양은 단순히 장식적인 기능에 국한되지 않고 인간 본연의 기원과 욕구를 다분히 종교적 성격을 띠면서 담아내고 있습니다.
우리 선조들의 뛰어난 창의력과 지식, 예술성, 생활 등 모든 것이 깃들어 있는 ‘한국전통문양’은 우리 전통 문화재, 건축물, 생활소품, 그림 등에서 추출한 정보를 담고 있는 독창적인 전통문화 유산의 발현입니다.
아울러 사용자들의 요구사항 수렴을 통해 전통문양 원형보존 중심의 ‘문양원형DB’을 소재로 이용자 재가공 및 편집이 용이한 활용 중심의 ‘문화디자인DB'와 ‘산업계 활용사례DB‘를 구축하여 사용자들이 새로운 가치창출을 할 수 있는 서비스 환경 및 지원체계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전통문양’은 미래창조과학부(한국정보화진흥원)와 문화체육관광부(한국문화정보원)가 우리만의 고유한 문양을 문화재, 유물 등으로부터 추출하여 산업적 디자인 소재로 활용이 가능하도록 디지털화 하여 산업적 이용을 지원하는 국가DB사업으로 구축 되었습니다.
DB 구축 현황
-
“전통문양” 보유 DB 현황
- 한국의 전통문양원형 DB구축(2005 ~ 2012)
문화재 현장답사 후 보존성/활용성 높은 문양 선정 후, 원시문양, 개별문양, 활용문양, 설명 자료로 DB구축
- 원천유물 내용
-
1. 원천유물
- 원시문양 내용
-
2. 원시문양
- 개별문양 내용
-
3. 개별문양
- 활용문양 내용
-
4.활용문양
- 한국의 전통문양원형 DB구축(2005 ~ 2012)
-
- “전통문양” DB구축(2013 ~ 2017)
구축된 전통문양원형 DB를 활용하여 사용자가 재사용 및 편집이 용이하도록 디자인 요소가 가미된 맞춤형 디자인 DB구축
- “전통문양” DB구축(2013 ~ 2017)
전통문양 분류
문양은 그 소재와 의미에 때라 분류할 수 있다. 용이나 봉황 등 동물을 소재로 할 수 있으며, 연꽃이나 대나무 등 식물을 소재로 삼을 수도 있다. 식물이나 동물뿐만 아니라 만(卍 )자나 수(需)자를 연속으로 나타낸 문자 무늬나 기하학 무늬도 있으며, 자연 소재가 아닌 인공물 속에서도 소재를 취하였다.
문양 중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열 개의 사물을 같이 표현한 십장생문과 같은 복합문도 있다. 이처럼 문양은 소재별로 분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의미하는 바에 따라 장수를 기원하는 것, 입신출세를 기원하는 것 등 의미별로도 분류할 수 있다.
-
문양별 의미(예시)
- 연애탈출 내용
-
연애탈출
- 사주보 (전주대학교박물관)
- 나비문양 (자유연애,행복)
- 입신출세 내용
-
입신출세
- 청자상감물고기문대접 (계명대학교행소박물관)
- 물고기문 (장원급제 및 입신출세)
- 건강기원 내용
-
건강기원
- 범어사 사천왕상 (범어사)
- 구름문양 (불로장생)
- 부귀영화 내용
-
부귀영화
- 베갯모 (전주대학교박물관)
- 모란문양 (부귀영화)
- 출산기원 내용
-
출산기원
- 연화문 수막새 (이화여자대학교)
- 연꽃문양 (생명창조, 번영, 득남)
전통문양 활용
한국의 전통문양을 제품 디자인에 활용하여 실생활에 한국적인 느낌을 더할 수 있습니다.
문양별 의미(예시)
- 패션 내용
-
패션
- 가전 내용
-
가전
- 생활용품 내용
-
생활용품
- 귀금속 내용
-
귀금속
'문화포털(www.culture.go.kr)'에서는 우리의 고유한 전통 문양을 디자인 소재로 다양한 제품과 서비스, 홍보에 사용할 수 있도록 소스파일 (GIF, AI, 3D, CAD)을 무료로 개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