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옹기자세히보기조회수 : 419
숨쉬는 그릇 옹기란? 옹기[甕器]는 자연으로부터 최소한의 흙, 물, 불, 바람을 빌려와 만든 그릇으로서 자연적 소박함이 묻어있는 질그릇과 오지그릇를 총칭하는 말이다. 전통적으로 한국인은 옹기를 조미료와 주식 및 부식물의 저장용구, 주류 발효 도구, 음료수 저장 용구 등으로 사용하였다. 삼국시대부터 만든 옹기는 세계에서 한민
-
천연염료자세히보기조회수 : 376
체험프로그램 체험프로그램 꽃물체험 손수건, 티셔츠, 스카프 등에 무늬염(호피, 구름, 사선, 소용돌이등)을 하여 나만의 염색 작품을 만들어 보는 체험프로그램 색상: 노랑계열, 붉은계열, 흑색계열,
-
완주 할머니 다듬이 소리자세히보기조회수 : 313
세월이 녹아든 진실한 옛 소리, 음악극 <입신(入神)> 완주 할머니 다듬이 소리 다듬이는 옷감의 구김살을 펴고 반드럽게 하기 위하여 방망이로 두드려 펴 손질하는 것으로, 두 사람이 네 개의 방망이로 음률에 맞추어 옷감을 다듬는 다듬이 소리는 우리 풍속의 일면을 이루기도 한다.
-
인제 목공예자세히보기조회수 : 345
한국 전통목공예의 발원지 인제목공예 인제 목공예 인제군 전체면적의 89.7%가 산림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리적 특징으로 인해 인제목기는 1,400년의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가진 서민 목기로 자리잡아 왔다. 2005년 관내 18개 공예관련업체가 인제군 공예산업의 제2의 중흥
-
제주 옹기자세히보기조회수 : 370
화산섬, 사람을 닮은 제주옹기 제주 옹기 제주도는 화산폭발로 생성된 화산회토가 지표면을 덮고 있기때문에 토질이 가볍고 푸석지며 철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제주옹기는 이러한 흙을 재료로하여 유약을 전혀쓰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전통방식으로 제작하고 있다.
-
충주 숙성용기자세히보기조회수 : 500
천년의 지혜로 오크통을 넘는다. “숙아리” 충주 숙성용기 예로부터 숨쉬는 그릇으로 인식되어온 옹기의 기본 특성인 통기성을 최적화 함으로써, 우리 술을 숙성시켜 고유의 풍미를 더할 수 있도록 한 항아리이다. 윤두리도예공방은 경험에 의한 전통기술인 옹기의 숨쉬는 기능을 최적화시켜, 숙성이 필요한 각 식품의 숙성에가장 적합한 전
-
백동연죽자세히보기조회수 : 358
연기 속에 나타나는 전통의 멋과 기술 남원 백동연죽 연죽(煙竹)이란 일반적으로 담뱃대를 말하며, 백동연죽은 구리합금의 일종이나 니켈이 들어가 은빛을 띈 백동으로 만든 담뱃대이다. 담뱃대의 형태에 따라 장죽이라는 긴 것과 곰방대라는 짧은 것이 있으며, 장식이 화려한 연죽과 소박한 민죽으로 구분된다. 그
-
단양백자자세히보기조회수 : 340
전통과 현대의 만남 “단양백자” 단양 백자 지역충정북도 단양군 충청북도 단양군 대강면의 방곡리는 조선시대인 17세기 부터 민수용 도자기를 제작하던 곳이었으나 현대에 이르러 명맥만 유지하고 있던 것을 1994년 단양군에서 현대적 도예촌으로 복원하였다. 가스가마가 아닌 전통 장작가마를 고수하는 도예인들이 참여하여 작품활동을 전
-
화문석자세히보기조회수 : 375
인내와 끈기의 전통산물,강화 화문석 화문석 완초 공예는 완초, 왕골이라 불리우는 풀을 재료로 자리류, 용기류 등의 공예품을 만드는 민속공예의 한 영역으로 물들인 왕골을 손으로 덧겹쳐가며 엮은 다음, 무늬에 따라 잘라낸 꽃돗자리를 화문석이라 한다. 완초장은 왕골을 사용하여 기물을 만드는 장인을 말하며 왕골제품은 왕골이라는 자
-
무안 분청사기자세히보기조회수 : 338
가장 한국적인 美를 빚어내는 분청자 무안 분청사기 분청사기는‘ 분장회청사기(粉粧灰靑沙器)’의 약칭으로 회색또는 회흑색 태토(胎土) 위에 백토니(白土泥)를 분장한 다음 유약을 입혀서 구워낸 자기이다. 무안에는 양질의 고령토가 많아 분청사기 도요지로 명맥을 이어오고 있다. 2000년 6월 1일 설립한 무안분청자기협회는 회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