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별 표준영정

김홍도 (金弘道)
1745(영조 21)~?, 조선의 화가(畵家)

 호는 단원(檀園) 본관은 김해(金海), 가난한 집안에서 태어나 어려서부터 그림솜씨가 뛰어났으나, 아버지의 반대로 제대로 그림공부를 하지 못했다. 호조참판(戶曺參判) 강세황(姜世晃) 앞에서 그림을 그려, 그 실력을 인정받아 그의 천거로 도화서 화원(圖畵署畵員)이 되었다.


 1771년(영조 47) 왕세손(뒷날 정조)의 얼굴을 그렸고, 1781년(정조 5) 어진화사(御眞書師)로 발탁되어 왕의 초상화를 그렀으며, 정조는 그를 평하기를 "김홍도는 그림에 매우 능하다. 그림 그리는 사람은 모두 그를 스승으로 삼는다"고 하였다. 1795년(정조 19) 신창현감(新昌縣監)이 되었다가 곧 사임하였다. 이듬해 왕명으로 금강산 및 용주사(龍珠寺)의 부모은중경(父母恩重經)을 그렸다.


 단원은 산수화에서 불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표현하였으며, 당시의 화가들은 고착된 중국 북화양식을 모방하여 그림을 그렸으나 단원은 그것을 대담하게 탈피하여 강렬한 개성으로 독특한 경지를 개척하였으며, 한국적인 풍토 감각을 맑게 표현한 당시의 걸출한 작가였다.


 풍속화에 있어서는 해학(譜謔)과 풍자(諷刺)를 조화하여 서민적인 풍취로 그렸고, 산수화, 인물화는 탁월하였으며, 신선도에서는 매우 호방한 활달하고 거리낌 없는 호탕한 그의 성격이 잘 표현되어 있다. 특히 해상군선도(海上群仙圖)는 단숨에 일필휘지로 그려내어 생동감이 생생하게 살아나 보인다. 사도세자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그린 용주사의 삼세여래불탱화(三世如來佛幀畵)는 우리나라에서 최초로 운염 기법(暈染技法)을 구사하였으며, 채색의 농담(濃淡)으로 형체의 원근 고저(遠近高低)를 잘 표현한 작품이다.


[作品] 群仙圖, 風俗書帖(書堂圖, 舞樂圖 等) [文獻] 正祖寶錄, 槿域書畵徵 等

[영정개요]
- 표준영정 지정년도 : 1981
- 제작작가 : 일랑 이종상
- 영정크기 : 세로119.2cm X 가로85.7cm
- 소 장 지 : 국립현대미술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