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별 표준영정

최무선 (崔茂宣)
1325(충숙왕 12)~1395(태조 4), 고려말의 무기 발명가

 본관은 영주(永州 현재의 영천)이며, 광흥창사(廣興倉使) 최동순(崔東洵)의 아들이다. 무관(武官)인 그는 고려말기에 한창 기승을 부리던, 왜구를 격별하기 위해서는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사용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화약과 총을 연구하여 만들었다. 이는 우리나라에서 화약을 이용하여 무기를 만든 최초가 된다. 당시 화약을 만드는데 세 가지 재료가 필요하였는데, 초석(염초), 유황, 분탄이었다. 유황과 분탄은 쉽게 구할 수 있었으나 초석을 만드는 일이 가장 어렵고 중요하였다. 이 초석을 만드는 일은 중국 사람으로 부터 배워야 하였다. 많은 노력 끝에 중국 강남지방에서 온 원나라 사람 이원(李元)을 자기 집에 머물게 하며 초석 제조 기술을 배웠다. 그리하여 화약을 만드는데 성공하였다. 처음에는 간단한 화약을 이용한 무기인 화전(火箭)을 만들었으며, 이에 자신을 얻어 수차례에 거쳐 조정에 각종 화약과 화약을 이용한 무기를 만들 화통도감(火筒都監)의 설치를 건의하여 허락을 받아 감독관이 되어 화약과 화약무기 제조의 본격적인 연구를 1377년 10월부터 시작하였다.


 화통도감에서 제조된 각종 화약무기는 18종에 이르렀는데 대장군(大將軍), 이장군(二將軍), 삼장군(三將軍), 육화석포(六火石砲), 화포(火砲), 신포(信砲), 화통(火筒) 등이 있고, 발사하는 화살종류로는 화전(火箭), 철령전(鐵翎箭), 피령전(皮翎箭) 등이 있으며, 그 밖에 철탄자(鐵彈子), 질려포(疾藜砲), 천산오룡전(穿山五龍箭), 유화(流火), 촉천화(觸天火), 주화(走火) 등이 있다. 또한 이런 화기를 실을 수 있는 전함을 만드는데도 진력하였다.


 1380년(우왕 6) 왜구가 500여척의 배를 타고 금강하구 진포를 침략하였을 때, 부원수로서 원수(元帥) 나세(羅世)와 함께 각종 화약무기로 무장한 전함을 이끌고 나가서 화통, 화포 등을 최초로 사용하여 왜구를 격파하고 큰 전공을 세웠다. 고려에서 지문하부사(知門下府事)라는 벼슬에 올랐다. 조선 초에는 나이가 많아 등용되지 못하였으나, 그가 죽은 후에 그의 공을 생각하여 의정부 우정승 영성부 원군(永城府院君)에 추증되었다. 저서로는 화약수련법(火藥修練法)이 있었으나 지금은 전하지 않는다.


[文獻] 高麗史, 太祖實錄 等

[영정개요]
- 표준영정 지정년도 : 1987
- 제작작가 : 신영상
- 영정크기 : 세로135cm X 가로88cm
- 소 장 지 : 국립현대미술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