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광대 탈자세히보기조회수 : 840
탈 없애는 탈 메카 김해시 김해 오광대 탈 김해 오광대는 김해지역의 대표적인 민속놀이로 서민들의 삶의 애환을 담은 해학극이며 탈을 쓰고 하는 일종의 놀이마당극이다. 김해 오광대 탈은 젊은 계층에게 우리 탈을 어필할 수 있는 다양한 체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는 동시에 탈문화상품 개발을 통하여 전통문화 보급에 앞장서고 있다. 김해를 대표하는 명품 탈, 탈 문화상품의 세계화를 추진하는 동시에 탈을 통한 김해시의 브랜드 강화 방안도 꾸준히 모색하고 있다. 지역 경상남도 김해시 보유자 조지현 약력 2004 문화제위원의 고증을 거쳐 탈 제작자로 인정받음 김해공예협회 초대회장 역임 의장 및 디자인권 19건 등록 2011 대한민국 공예예술대전 특별상 찻잔 공모전, 관광기념품 공모전등에서 수상 다수 관련사진 포장형태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가야탈방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생림대로 95-11 이메일 khmask@naver.com
-
나전칠기자세히보기조회수 : 820
“나전 일은 세밀하여 귀하다고 할 만 하다” 「고려도경」 통영 나전칠기 나(螺)는 장식에 쓰이는 나선형의 조개류를 가리키며 전(鈿)은 황금으로 장식했다는 말로 나전칠기(螺鈿漆器)란 나무와 가죽, 대나무 등에 옻칠을 하여 밑바탕을 처리한 위에, 영롱한 자개를 톱으로 자르고 줄로 썰어 상사칼로 끊어가면서 정교하게 문양을 붙인 후, 다시 옻칠을 하여 완성시킨 제품을 말한다. 통영 나전칠기 임진왜란으로 통영에 삼도수군 통제영이 설치된 1604년부터 12공방에 상하칠방을 두어 나전칠기를 생산하면서 통영나전칠기가 크게 발달하고 한국나전칠기의 주산지로 알려지게 되었다. 25가지 공정으로 작품 제작기간이 적게는 30일, 많게는1년 이상 걸리는 고난이도 수공예품이다. 지역 경상남도 통영시 보유자 송방웅 연혁 국가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수상내역 1983 제14회 전국관광민예품경진대회 대한무역진흥공사장상 1983 제8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국무총리상 1984 제14회 관광민예품경진대회 최우수상 1984 제14회 전국관광민예품경진대회 중소기업진흥공단이사장상 1984 제9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특별상 1985 제15회 관광민예품경진대회 최우수상 1985 제15회 전국관광민예품경진대회 상공부장관상 1985 제10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대통령상 2006 제8회 통영시민문화상 2011 한국공예협동조합연합회 공로패 수상 경력사항 1986~1996 경상남도공예협동조합 이사장(10년근속) 1986~1996 통영무형문화재보존협회 이사장(10년 근속) 1990 중요무형문화재 제10호 나전장 기능보유자 2003 제2회 대한민국전승공예대전 심사위원 2005 한국옻칠문화협회 회장 체험프로그램 나전칠기 체험교육 교육소요시간 : 1시간 ~ 1시간 30분 최소참가인원 : 10명이상 체험자격 : 10,000원 ~ 15,000원 나전칠기 체험교육 체험명 가격 최소참가인원 안내 표 체험명 가격 최소참가인원 나전열쇠고리 10,000원 10명 나전목걸이 13,000웡 10명 나정손거울 15,000원 10명 교육소개 다양한 체험학습을 통하여 초,중등학교 청소년은 물론 학부모, 교사, 노인에 이르기까지 사라져가는 우리의 전통문화보급 나전을 이용하여 학습정도에 따라 다양하고 아름다운 작품을 직접 만들어 볼 수 있으며 작품을 완성하는 끈기 함양과 함께 긍정적 사고와 찾아지는 기쁨을 맛보는 시간이 되도록 교육 체험교육을 통한 통영나전칠기 가치 이해로 자긍심과 창의성 함양 체험방법 체험학습 강의> 도안 선택> 지도 및 체험실시 > 작품완성 > 마감처리 > 개인소장 교육시설 문화상품 1. 와인 액세서리 세트 2. 수저 받침대 고급스러움을 활용한 상품 심플한 표현으로 소재의 특징을 살림 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상품 개발 나전장 박재성 경상남도 최고 장인 경상남도 통영시 북신동 285-8 나전장 정찬복 경상남도 최고 장인 경상남도 통영시 정량동 354-56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통영전통공예관 주소 경상남도 통영시 도남로 281(도남동 642) 연락처 Tel. 055-645-3266 이메일 12craft@hanmail.net 홈페이지 http://craft12.co.kr/
-
방짜 유기자세히보기조회수 : 823
“여러 장정이 내리치는 망치소리에 벌겋게 달궈진 쇠가 울음을 토한다” 통영 거창 방짜유기 전통문화의 새로운 장을 열어가는 “깐깐한 우리집 건강식기” 두부자공방 방짜유기는 유기의 종류 중 가장 질이 좋은 유기로, 구리와 주석이 정확히 합금된 놋쇠를 불에 달구어 두드려서 만든 그릇이며 독성이 없어 식기류로 제작이 될 뿐만 아니라 징, 꽹과리 같은 타악기로도 만들어진다. 경남무형문화재 제14호 징장 이용구 선생님과 이경동 전수자가 대한민국 방짜유기의 큰맥을 이어가고 있다. 두부자공방의 제품작업은 방짜쇠를 1,200도 이상의 고온에서 구리 78%, 주석22%를 정확하게 합금하여 두꺼운 바대기를 불에 달구어 얇게 늘리는 공정을 거치는 동안 놋쇠 자체 물성이 균일하게 되어 기포가 없는 최고의 방짜쇠로 만들어 집니다. 얇은 바대기를 불에 달구어 그릇모양의 형태로 만든 후 추가적인 여러 공정을 거치는동안 생명의 그릇, 방짜유기가 탄생합니다 제품정보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두부자공방 주소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정장리 100-1 연락처 Tel. 055-945-2626 이메일 dubooja62@yahoo.co.kr 홈페이지 http://www.dubooja.com/
-
갈산토기자세히보기조회수 : 764
체험프로그램 옹기체험 공통사항 연중 체험기간 : 4월부터 11월까지(개인) / 50인이상 연중(단체) 체험운영시간 : 오전/오후 / 단, '개인' 체험방문자의 옹기체험은 10시~15시사이에만 가능하십니다. 체험예약방법 : 구체적인 참가인원 및 방문시간 조정을 위해 체험예약은 전화문의로 진행되어집니다. 문의전화번호 : 041)633-1711 , 010-3741-4133 ※ 체험활동 중에 직접만든 작품은 갈산토기에서 가마작업 후 배송해 드립니다. 참여인원이 30인 이상일 경우 갈산토기에서 택배비 부담을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체험예약의 취소는 예약 방문일 기준으로 7일 이전에 가능하십니다. 체험종류 정악대금 장인의 얼을 찾아서 옹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친절한 설명으로 들으면서 눈으로 보고, 내손으로 자유롭고 재미있게 작품을 만들어보는 시간입니다. 방문대상 : 전체 체험활동 : 옹기작업견학, 직접만들어보기 소요시간 : 약 1시간 30분 유의사항 : 프로그램 참여 후 작품을 수령하기까지 약 2~3주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산조대금 우리전통 관악기 산조대금(70cm내외) 적동 청가리개, 갈대청 등을 사용하며 오랜 시간을 걸쳐 제작하여 음정이 정확하고 악기 변형이 없으며 소장가치가 있다. 장인의 얼을 찾아서 + 물레 옹기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눈으로 보고, 내손으로 직접 흙의 촉감을 느껴보고, 자유롭게 작품을 만들어보는 시간입니다. 방문대상 : 전체 체험활동 : 옹기작업견학, 물레돌려보기, 직접만들어보기 소요시간 : 약 2시간 유의사항 : 프로그램 참여 후 작품을 수령하기까지 약 2~3주의 시간이 소요됩니다.
-
대금자세히보기조회수 : 528
가슴을 울리는 소리 대금 우리악기, 문화, 예술의 얼과 맥을 느낄 수 있는 청공소리 춘수공방 우리나라의 전통 목관 악기 중 하나인 대금은 삼금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묵은 황죽이나 쌍골죽으로 만든다. 대금에는 궁중음악과 정악에 사용되는 정악대금과 대금 산조나 민속무용반주 등에 사용되는 산조대금이 있다. 지역 전라남도 무안군 보유자 무안분청자기협회 약력 국악 관악기(대금, 단소, 소금, 관광상품) 제작, 연구, 체험, 전시, 판매 무형문화재12호 고이곤악기장 제작 전수 조달청, 빛고을 전수관 악기납품 기차마을 악기체험 및 교육, 겸면전수관 악기체험 및 교육, 택견 전수관 악기체험 및 교육, 심청축제, 대나무축제, 나비축제 및 전남, 광주봉사 체험 및 교육 대동문화재단 예술강사활동 주민자치센터 예술강사활동 춘수공방우리문화체험관 운영 (대금, 단소, 소금, 택견, 우리음식, 도자기, 게스트하우스 등) 대금제작 모습 행사 참여모습 행사 참여모습 정악대금 우리전통 관악기 정악대금(80cm내외) 재료는 국내 쌍골죽, 오래된 황죽, 수제 청가리개 등을 사용한다. 완성까지 오랜 시간을 두고 제작하여 변형이 없으며 장인의 혼이 깃든 대금으로 소장가치가 있다. 산조대금 우리전통 관악기 산조대금(70cm내외) 적동 청가리개, 갈대청 등을 사용하며 오랜 시간을 걸쳐 제작하여 음정이 정확하고 악기 변형이 없으며 소장가치가 있다. 소금 우리 관악기 소금(40~50cm내외) 오랜 건조과정과 불 작업 및 재료 선별의 세심함으로 악기를 제작하여 소금의 맑고 높은 음색을 느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정을 정확하고 편안하게 소리 낼 수 있다. 단소 우리 국악기 단소(40cm내외) 세심한 작업과정을 통하여 정확하고 음색이 좋은 단소로, 단소의 청아하고 맑은 소리를 느낄 수 있다. 1. 핸드폰 고리(피리+후레쉬) 2. 멜로디 팝업 초대장 아름다움과 기능 강조 상징성의 유지 대금의 기능을 실용성 있게 적용 체험프로그램 옹기체험 택견체험, 단소체험, 염색체험, 다도체험, 떡케잌만들기 체험 프로그램에 관한 표 프로그램명 내용 택견 체험 택견배우기 체험 / 10인 이상 / 일주일전 예약 / 1인 5,000원 / 직접 운영 단소 체험 단소배우기 체험 / 10인 이상 / 일주일전 예약 / 1인 2만원 / 직접 운영 염색 체험 염색하기 체험 / 10인 이상 / 일주일전 예약 / 1인 1만원 / 직접 운영 다도 체험 다도 배우기 체험 / 10인 이상 / 일주일전 예약 / 1인 5,000원 / 직접 운영 떡케잌 만들기 체험 떡케잌 만들기 / 10인 이상 / 일주일전 예약 / 1인 1만원 / 직접 운영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청공소리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로1번길 1 (동명동) 이메일 ddanpan74@hanmail.net 연락처 Tel. 062-226-5777 H.P 010-7247-7506
-
전통마을 대장간자세히보기조회수 : 431
살아숨쉬는 명품 대장간 (순천 낙안읍성) 대장간 순천 도심에서 서쪽으로 22km 지점에 위치해 있는 낙안읍성은 조선시대 성·동헌·객사·초가가 원형 그대로 보존돼 있어 성과 마을 전체가 국내 최초의 사적 제302호로 지정돼 있는 문화관광명소이다. 1960년대만 해도 웬만한 시골 마을마다 한 곳 정도 있을만큼 쉽게 눈에 띄던 곳이 대장간이었다. 당시 쇠를 녹이 던 연료는 대부분 나무였기에 풀무질은 필수, 쉼 없는 풀무질에 쇠도 녹고 애환도 녹였다. 이러한 대장간은 1980년대 농기구의 급속한 발달, 각종 주물(鑄物)을 생산하는 공장건립 등에 따라 서서히 사라지기 시작하여, 현재 흔적조차 찾아 볼 수 없을 만큼 우리 곁에서 사라져 버렸다. 경운기, 콤바인 등 기계화 영농을 상상조차 할 수 없었던 시절, 우리사회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던 대장간, 그 속에 비지땀을 흘리며 쇠를 치던 대장장이,과거의 나무는 아니지만 검은 숯에 풀무질하며 아직도 대장간의 옛 모습을 볼 수 있는 우리 조상들이 삶의 애환을 녹이던 대장간을 낙안읍성 보존회에서 볼 수 있다.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보유자 강호인 약력 1940년대부터 대장간 작업 주요실적 송광사 : 대문장식, 영정못, 사찰문 문돌쪼구선암사, 심복사 : 문돌쪼구 통영 충무사 : 사찰문 문돌쪼구 해인사 : 문중 제각 문돌쪼구 중흥사 : 목수끌 동쪼구 제작·납품 관련사진 낫 재질 : 강철, 소나무 강철을 불에 20번 이상 두드리고 담금질을 반복하여 모두 수작업으로 만든 제품 곡갱이 재질 : 강철, 잡나무 도라지, 더덕 등 땅에 있는 곡식들을 캐는 용도 호미 재질 : 강철, 소나무 풀과 밭을 매는 농사 도구 두발 쇠스랑 재질 : 강철, 소나무 땅을 고르고 감자를 캐거나 풀을 매는 용도 벽채 호미 재질 : 강철, 소나무 풀과 밭을 매는 농사 도구 새발 쇠스랑 재질 : 강철, 잡나무 땅을 고르고 감자를 캐거나 풀을 매는 용도 훌대 재질 : 강철, 소나무 소나무나 나무의 껍질을 벗기는 용도 화로 불손 재질 : 강철 화로에 들어있는 불을 꺼지지 않도록 뒤적이는 용도 대칼 재질 : 강철, 소나무 대나무를 쪼개는 용도 조새 재질 : 강철, 소나무 굴을 까는 용도 1. 핸드폰 고리(피리+후레쉬) 2. 멜로디 팝업 초대장 낙안읍성의 고지도를 활용한 포장디자인 ‘읍성’을 강조 외국어와 함께 사용함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청공소리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동계로1번길 1 (동명동) 이메일 ddanpan74@hanmail.net 연락처 Tel. 062-226-5777 H.P 010-7247-7506
-
전통마을 짚물공예자세히보기조회수 : 409
살아숨쉬는 우리 전통 짚물공예 (순천 낙안읍성) 짚물공예 대대로 벼농사를 지어온 우리민족에게 짚은 가을 걷이가 끝난 우리네 들녘 어디서나 찾아볼 수 있는 흔한 것으로 예부터 우리 삶 속에 깊이 자리해 왔다. 민간에서는 정갈하고 정화의 의미를 지닌 것으로 간주 하여, 아기 탄생을 신성시하기 위하여 짚을 깔고, 상서롭지 못한 이들의 출입을 막기 위하여 왼새끼를 꼬아 금줄을 쳤고 짚으로 지붕을 이어 풍우를 막았다. 또한 사람이 죽으면 짚으로 염을 하고 초분을 만들었다. 우리 민족의 삶에 큰 부분을 차지하였고 사계절 내내 우리의 시야에서 벗어나지 않았던 짚이 이제는 특별한 곳에서나 볼 수 있는 것으로 변하고 있다. 낙안읍성 보존회에서는 이러한 짚물 공예를 보전 및 시연하고 있다. 지역 전라남도 순천시 보유자 장영현 약력 1958년부터 짚물공예 시작 생활에 필요한 짚신, 망태, 멍석, 삼태기, 동구미 등 생활용품들 제작 농사와 작품활동 병행 관련사진 짚동구미(소) 소소한 물건을 담아 두는 용도 삼태기 곡실을 옮기거나 거름을 밭에 뿌리기 위한 용도 짚통구미(중) 곡식을 담는 용도 망태 풀을 베어 담거나 산채나물을 뜯어 이동하는 용도 짚동구미(대) 곡식을 담는 용도 장식용 화병 여러가지 장식을 꽂아 놓을 수 있는 장식용 화병 짚동구미(Set) 청국장을 띄우기 위한 용도 짚신 옛날 신발이 없던 시절에 신발 대용으로 신던 신발 또아리 물동이나 무거운 물건을 머리고 나를 때 머리에 받치는 도구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사단법인) 낙안읍성 보존회 주소 전라남도 순천시 낙안면 낙안읍성 민속마을 이메일 이메일 :stp6896@naver.com 연락처 Tel. 061-754-3150 Fax. 061-754-2557
-
광주 남구 공예창작촌자세히보기조회수 : 389
광주 남구 공예창작촌 지석도요 광주지역 공예인들을 위한 전용 창작 공간인 빛고을 공예창작촌은 전통공예와 현대공예가 공존하는 곳으로 현대인의 감각과 수요에 맞는 공예품을 만날 수 있는 장소이다 法 古 創 新, 지석도요는 옛것과 현대가 자연스레 공존하는 도자예술을 하고 있다..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보유자 손동진 약력 무형 문화재 고현 조기정 문하 전남 강진 청자재현사업 참여 1986년 추천작가 지정 1997년 초대작가 지정 북경 대사관 초대전(1998) 무형문화재 공개행사(1995~) 개인전 1회(1995) 다인과 도예가의 만남전 흙의 마음전, 자미 갤러리 초대전 명인 명품전, 아트 상품전, 영호남 교류전 일송 일매 오류전, 아시아 공예페어 프랑스 드보르시 한인회 초대전 전국 관광기념품대전 심사 대한민국 디자인 문화대전 심사 전남 미술대전 심사, 광주 미술대전 심사 전국 공예품 미술대전 심사 전남 공업고등학교 도예 기능 강사 영광 성지고등학교 도예 기능 강사 전통 공예학교 도예 강사 광주 공예협동조합 이사 관련사진 분청 보상 당초문 매병 분청 어문 매병 청자 보리문 매병 청자 청채 모란문 매병 빛고을 고예창작촌 공동브랜드 남구 CI와의 연계성 빛고을공예창작촌에 상주하는 장인들이 함께 사용할수 있는 브랜드 손으로 뜯은 한지의 형태로 수고예를 표현 그 모양이 서로 얽히어 공동사회에 대한의미 반영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지석도요 주소 광주광역시 서구 쌍촌동 1357-6 이메일 jisuk331-1628@hanmail.net 연락처 Tel. 062-373-4358
-
부채공예자세히보기조회수 : 432
광주 남구 공예창작촌 부채공예 부채공예 40년 청라공예사는 전통의 맥과 얼을 살리는 아름다운 부채를 40년째 만들고 있다. 지역 광주광역시 남구 보유자 김명균 약력 1959년 출생 15세부터 부친에게서 부채작업 전수 광주대학교 예술대 졸업 전국 공예대전 장려상 2회, 특선 3회,입선 8회 온고을 공예대전 운영위원 심사 TV(mbc, kbs, kbc) 방송 출연 운림제 부채박물관 관장 청라공예사 운영 관련사진 카드부채 전통문양인 태극문양을 이용하여 부채를 만들어 엽서로 활용한 부채 풍속도 부채 옛 생활모습을 그린 풍속화를 이용하여 만든 부채 미니태극부채 태극문양 부채를 작게 만들어 놓은 부채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청라공예사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동명로 35 이메일 k590717@hanmail.net 연락처 Tel. 062-226-3906 Fax. 062-226-3907
-
전주 한지자세히보기조회수 : 449
한지란 ? 韓紙 천년을 빛낸 우리 한지 한지는 닥나무와 황촉규(黃蜀葵)를 주재료로 하여 만든 우리나라 전통 종이로, 전주의 한지는 질기고 아름다운 윤이 나며, 보존성과 흡수성이 뛰어나다. 한지는 문방사우(文房四友)라 불리울만큼 우리 민족과 가장 가깝게 지내온 귀한 존재로서, 우리 민족 생활사 속에 서 매우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여 오늘날까지도 그 명맥을 유지하며 세계 속에 한지의 우수성을 펼치고 있다. 우리나라의 종이인 한지(韓紙)는 예로부터 주변국가에까지 널리 알려졌으며, 특히 '닥'을 주원료로 하여 만들었기에 순우리말로 '닥종이'라고도 불리어왔다. 한지의 제조 과정 1. 닥나무 체취 2. 닥무지 3. 닥나무껍질 벗기기 4. 백피(백닥)만들기 5. 수세하기 6. 잿물만들기 7. 닥섬유 삶기 8. 수세와 일광표백 9.닥섬유 두드리 10. 닥섬유 혜리 11. 닥풀만들기 12. 재표와 닥풀섞기 13. 물질하기 14. 뜬 종이 판에 붙이기 15. 동글통으로 기포제거하기 16. 습지와 발 분리하기 17. 압착탈수 18. 이릿대로 떼어내기 19. 일광건조 20. 도침하기 한지완성 찾아오시는 길 업체명 청라공예사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동명동 동명로 35 이메일 k590717@hanmail.net 연락처 Tel. 062-226-3906 Fax. 062-226-3907 한지의 제조 과정 연혁 2012년최영재 이사장 취임 2008년이봉진 이사장 취임 2005~8년2대, 3대 강갑석 이사장 취임 2004년팔복동에 현대식 공장 신축 5개사 입주 2003년초대 최성일 이사장 취임 2003년전주한지사업협동조합 설립인가 (중소기업청) 1993년전북한지사업협동조합 결성 1993년전주공단 협동화단지에 22개업체 입주 1937년서학동 흑석골로 한지공장 이전 1800년풍남동중심으로 한지공장조성 관련업체 관련업체 업체명, 대표이사, 조합회원사, 전화에 대한 표 업체명 대표이사 조합회원사 전화 대성한지 오남용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1가 169-4 063-212-0910 성일한지 최성일 전북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1가 168-3 063-214-3869 용인한지 김인수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1가 168-2 063-212-5514 천양제지 최영재 전북 완주군 소양면 해월리 289-9번지 063-284-2548 천일한지 김천종 전주시 덕진구 팔복동 2가 290-4 063-211-1957 제품소개 온지 온지는 전주한지사업협동조합이 개발한 친환경 건축자재(창호지, 벽지, 장판지) 공통 브랜드 제품으로 자연에서 얻은 각종 기능성 천연소재를 첨가한 자연친화적인 한지로 내구성이 뛰어나며 통기성과 습도를 조절하는 능력 또한 탁월하여 새집증후군과 아토피 피부염개선에 효과가 있어 현대인들의 건강과 정신적인 안정에 도움을 주고 있는 친환경벽지?창호지, 천연물질 함침 장판지입니다. 그 밖의 한지 제품 색한지 기름먹는 한지 한지비누 한지손수건 순지 퍼인트 벽지 화선지 한지 수의 찾아오시는 길 전주한지사업협동조합 업체명 전주한지사업협동조합 주소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풍남동 3가 16-12 연락처 063)211-2111 홈페이지 http://www.onhanji.kr/ 조합 공동판매장: http://www.hanjishop.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