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별 표준영정

성삼문 (成三問)
1418(태종 18)~1456(세조 2), 조선의 학자, 사육신(死六臣)의 한 사람

 본관은 창녕, 도총관 승(勝)의 아들이다. 1438년(세종 20)에 생원으로 식년문과(式年文科)에 급제하고, 1447년 문과중시에 장원했다. 집현전 학사(集賢殿學士)로 뽑혀, 세종(世宗)의 지극한 총애를 받으면서 집현전수찬, 직집현전(直集賢殿)을 거쳐, 왕명으로 신숙주(申叔舟)와 함께 「예기대문언독(禮記大文諺讀)」을 편찬하였다. 경연관이 되어 항상 세종을 가까이에서 모셔 총애를 받았다.


 1442년 신숙주, 하위지, 박팽년 등과 삼각산 진관사(津寬寺)에서 사가독서(賜暇讀書)를 했고, 정음청(正音廳)에서 정인지, 최항, 박평년, 신숙주, 강희안, 이개 등과 함께 한글의 창제를 앞두고 일하면서, 당시 요동(遼東)에 유배되어 있던 명나라 한림학사 황찬(黃瓚)에게 13번이나 내왕하면서 음운(音韻)을 질의하고, 또 명나라에 여러 번 가서 음운과 교장(敎場)의 제도를 연구하여 훈민정음 창제에 크게 기여하여, 1446년 9월 29일 훈민정음(訓民正音)을 반포하였다. 1453년(단종 1) 수양대군(首陽大君)이 김종서(金宗瑞)를 죽이고, 집현전 신하들에게 정난공신(靖難功臣)의 호를 내리자 이를 수치로 여겼다. 1455년 예방승지로서 세조가 단종을 내쫓고 왕위에 오르자 국새를 안고 통곡했다.


 이듬해 좌부승지로서 아버지 승(勝)과 박평년 등과 같이 단종의 복위를 협의하여, 그해 4월에 명(明)나라 사신의 송별연회 석상에서 운검(雲劍)을 쥐게 된 아버지와 유응부(兪應孚)가 세조를 죽이고, 이어서 한명회, 권람, 정인지 등 일파를 없애기로 했으나, 당일 운검을 세우지 않기로 되어 실행하지 못하였다. 이에 같이 모의에 가담했던 김질이 밀고하게 되어 이개, 하위지, 유응부 등과 함께 체포되어 친국을 받고 군기감 앞에서 거열(車裂)의 극형을 받았다. 이어 아버지 승도 주모자로 극형을 당했다. 1758년(영조 34)에는 이조판서에 추증되고, 시호는 충문(忠文).


[文獻] 世宗, 世祖, 肅宗實錄, 梅竹軒集 等

[영정개요]
-표준영정 지정년도: 1998
-제작 작가: 손연칠
-정크기: 170 X 104(가로X세로cm표시)
-소장지 및 소장인: 국립현대미술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