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표준영정

최익현 (崔益鉉)
1833(순조 33)~1906(광무 10), 조선의 문신, 학자, 의병장

 호는 면암(勉庵), 본관은 경주(慶州), 포천(泡川) 출신. 이항로(李恒老)의 문인이다. 조선 말기의 거유(巨儒)로서 1855년(철종 6) 정시문과(庭試文科)에 병과(丙科)로 급제하여, 1868년(고종 5) 장령(掌令)으로서, 토목공사(土木工事)로 인한 국민 부담의 가중, 당백전(堂百錢)의 발행에 따른 재정의 파탄 등을 들어 흥선 대원군(興宣大院君)의 실정(失政)을 상소하여 대원군의 노여움을 사, 돈령부 도정(敦寧府都正)에 전입되었다가 사직되었다.


 1873년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다시 기용되자 전국의 서원(書院)을 대폭적으로 철폐한 흥선 대원군 정책을 비판하는 상소를 하였고, 공조참판(工曹參判)에 승진 하여서는 더욱 강경한 논조로 대원군을 탄핵하여 대원군 실각의 결정적 계기를 만들었으며, 군부(君父)를 논박하였다 하여 제주도(濟州島)에 위리안치(圍離安置)되었다. 1875년 풀려 나왔으나, 이듬해 일본과의 통상(通商)이 논의되자, 5조(條)로 된 격렬한 척사소(斥邪疏)를 올리며 조약체결의 불가함을 역설하다가 다시 흑산도(黑山島)에 위리안치 되었다. 1879년 석방되고 1894년(고종 31)에 갑오경장(甲午更張)으로 단발령(斷髮令)이 내리자 이를 반대하여 투옥되었으며, 1898딘(광무 2) 궁내부 특진관(宮內府特進官)이 되었으나 사퇴하였다.


 이처럼 그는 국내에 대소사건이 있을 때마다. 죽음을 무릅쓰고 상소하며, 배일(排日)과 매국역신(賣國逆臣)의 토멸을 강력히 주장하여 여러 차례 체포, 구금되었다. 1905년(광무 9) 을사조약(乙巳條約)이 체결되자, 이듬해 제자 임병찬(林秉瓚), 임낙(林樂) 등의 80여명과 함께 천라도 태인(太仁)에서 의병을 모집하였으며, 일본의 배신 16조를 따지는 의거소략(義擧疏略)을 배포한 후, 순창(淳昌)에서 약 4백 명의 의병을 이끌고 관군, 일본군에 대항하여 싸웠다. 군사력의 열세로 인한 패전으로 체포되어 쓰시마섬(對馬島)에 유배되었다.


 그러나 유배지에서 지급되는 음식물을 적(敵)이 주는 것이라고 하며 거절하였다. 단식을 계속하면서 유언(遺言)을 구술(口述), 임병찬에게 초(抄)하여 올리게 한 뒤 굶어 죽었다. 청양 모덕사 등에서 배향되고 있다. 1962년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 중장(重章)이 수여되었다.



[著書] 勉庵集 等 [文獻] 韓國痛史, 韓國獨立運動之血史 等

[영정개요]
- 표준영정 지정년도 : 1986
- 제작작가 : 채용신
- 영정크기 : 세로136cm X 가로63cm
- 소 장 지 : 청양 모덕사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