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별 문화인물

채동선 (蔡東鮮)
1901~1953 / 작곡가, 바이올린 연주자
생애 및 업적
  •  1901년 전라남도 벌교에서 태어나 1953년 피난지 부산에서 53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난 작곡가 채동선은 암울했던 일제의 압박 속에서도 결코 굴함이 없이 한민족의 정신을 자신의 작품 속에 담아냄으로써 민족혼의 불길을 드높인 우리 시대의 선각자이다. 이 나라의 대표적인 서정시인 정지용과 친분을 두텁게 하면서 가곡의 대부분을 정지용의 시로 만들어낸 채동선은 정지용의 시가 출판금지 됨으로써 채동선의 가곡에서도 정지용의 시를 모두 바꾸어야 하는 수난을 당하기도 하지만 그가 남긴 가곡들 그 중에서도 정지용 시에 의한 가곡 「고향」은 영원히 우리 곁에 남아 깊은 감동을 나누어 주고 있다. '고향에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은 아니러뇨'로 시작되는 「고향」은 일제하에서 뿐만 아니라 지금까지도 그동안 잊고 지냈던 고향의 품안을 다시 한 번 음미하게 할뿐 아니라 언제 들어도 조국을 생각나게 하는 강한 메시지를 전해주고 있다.


     작곡가이기 전에 바이올리니스트였는데 와세다 대학 영문과를 다닐 때에도 오히려 바이올린에 더 빠져 있었고 결국 졸업 후에는 독일로 유학길에 올라 바이올린을 전공함으로써 초창기 이 나라의 현악 발전에 크게 공헌을 한다. 작곡가로서 채동선의 작품은 그리 많은 편은 아니지만 가곡의 주제는 서정성과 조국애로 뭉쳐 있고 해방 후에는 국민들의 의식을 개조하기 위해 한글노래, 무궁화의 노래 등 국민 개창운동을 위한 노래들을 만들어 한민족의 얼을 드높이는 일에 심혈을 기울였다. 홍난파가 쓴 채동선 귀국 독주회에 대한 당시의 글을 보면 채동선의 연주력이 상당한 수준이었음을 알게 하는데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사이에 4회의 독주회를 갖기도 했다.


     채선생은 일제의 악랄한 감시 하에서도 언제나 한복을 입었는가 하면 집의 문패도 한글로 써 붙임으로써 끝까지 한국의 얼을 저버리지 않는 강인함을 보여주었다. 해방 후 채선생은 음악계의 재건을 위해 고려음악협회장. 고려작곡가협회장 둥을 역임했고 서울시 문화위원, 문교부 예술위원, 예술원 위원 등을 역임 해방 후 초창기 이 나라 음악계에 중추적 역할을 감당했다.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