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름별 문화상징

소주와 막걸리
선정취지 및 필요성
  • 우리나라 사람들이 가장 즐겨 마시는 술로 대중, 서민문화를 상징한다.
역사적 배경 및 상징물의 의미
  • 소주(燒酒)는 증제법(蒸製法)에 의해 만든 술로 노주(露酒)·화주(火酒)·한주(汗酒)라고도 한다. 아라비아의 명의(名醫)인 아비센나가 최초로 알코올의 증류(蒸溜)를 발견했다고 한다. 이후 몽골(후에 원나라로 칭함)이 페르시아의 이슬람문화를 받아들이면서 증류방식의 술을 들여왔는데 우리나라에 도입된 시기는 고려 충렬왕 때 칭기즈칸의 손자 쿠빌라이가 일본 원정을 목적으로 한반도에 진출할 때 전해졌다고 한다. 소주라는 말은 태워서 만든 술이라는 뜻이다. 소주의 원명은 알코올을 가리키는 아랍어인 '아라그'(Arag)를 한역(漢譯)한 '아자길'(阿刺吉)·'아리걸'(阿里乞)이라고 중국문헌에 나오며, 우리나라 평안북도의 경우 아랑주, 개성지방에서는 아락주라고 하는 데서도 그 흔적이 드러난다. 특히 몽고의 주둔지이던 개성, 전진 기지가 있던 안동, 제주도에서부터 소주 제조법이 발달하였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사(高麗史)』에 공민왕 때 경상도 원수(元帥) 김진(金鎭)이 소주를 좋아하여 명기(名妓)와 부하를 모아 소주도(燒酒徒)가 되었다는 기록이 나오는데, 이것이 한국 최초의 기록이다. 이를 통하여 고려 말에 이미 소주가 유행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조선초기에는 왕실이나 사대부 등 주로 지배층이 많이 마셨는데, 후기에 들어와서는 농업기술의 발달로 인해 쌀 생산이 증가하고 양조업이 성장하면서 대량생산되어 일반인들도 즐겨 마시게 되었다. 이에 반하여 막걸리는 한국에서 개발된 전통술이다. 역사가 오래된 술로 빛깔이 뜨물처럼 희고 탁하며, 알코올 성분이 적은 술이다. 탁주(濁酒)·농주(農酒)·재주·회주라고도 한다. 또한 고려 때에는 이화주 (梨花酒)라고 부르기도 하였는데, 막걸리용 누룩을 배꽃이 필 무렵 만든데 서 유래한 것이었다. 막걸리는 고두밥(술밥)에다 누룩을 섞어 빚은 술을 오지그릇 위에 #자 모양의 나무걸치개를 걸치고 체로 막걸러 만들었다. 막걸리라는 이름은 ‘막걸렀’다는 데서 유래했다고도 한다. 한편 일제 때 편찬된 『조선주조사』에 보면 '막걸리는 처음으로 대동강 일대에서 빚어지기 시작해서 나라의 성쇠를 막론하고 구석구석까지 전파되어 민족의 고래주가 되었다'고 소개하고 있다.
다른 나라의 유사 사례
기대효과
  • 외래 서양식 맥주와 양주를 선호하는 요즘 우리전통 서민술에 대한 가치와 관심을 제고시키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문화사업 및 비영리 분야에서의 활용방안
  • 막걸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술이다. 그리고 소주는 우리의 술이 아니지만 지금은 가장 친숙한 술이 되어 버렸다. 다만 아쉬운 점은 소주가 서민의 대표 술이 되면서 이전에 막걸리가 누렸던 자리를 차지했다는 점이다. 오래 전부터 우리의 서민문화를 상징했던 이 두 술이 더불어 사랑을 받았으면 한다. 특히 소주의 경우 희석식보다 전통 증류방식에 의한 제조가 선호될 필요가 있다. 대표적인 술이 안동소주가 아닌가? 본다. 안동소주를 세계화하는 문화산업 또한 필요하겠다.
참고자료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편찬부,『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1)』,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1 김종태, 『촌스러운 것에 대한 그리움』, 새벽, 1997 <임학성>
관련이미지
빠른 이동 메뉴
  • 주소 : (03060) 서울시 종로구 종로구 율곡로 33 안국빌딩 7층
Copyright © KCDF. All Rights Reserved.